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언
2. 문헌으로 본 ‘靺鞨’
3. 고고학으로 본 ‘靺鞨’
4. ‘靺鞨’의 실체
5. 결어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三國史記』에 보이는 靺鞨의 實體
고구려발해연구
1997 .06
『三國史記』靺鞨의 활동범위와 성격
역사와 세계
2003 .12
『三國史記』本紀에 나타난 靺鞨의 性格
고구려발해연구
2009 .11
靺鞨7部의 實體와 渤海와의 關係
고구려발해연구
2009 .11
高句麗 멸망 전후의 靺鞨 동향
동북아역사논총
2005 .06
북방지역 種族의 繼承關係 검토 : 靺鞨 · 女眞 · 滿洲族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2014 .11
三國史記 僞靺鞨考
사학연구
1979 .12
한국고대사의 주변 : 말갈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온지논총
2010 .01
『三國史記』 百濟本紀 靺鞨關係記事의 檢討
역사와 세계
2006 .08
중국정사의 말갈7부와 삼국사기의 말갈
고구려발해연구
2010 .07
靺鞨의 成長과 高句麗의 靺鞨服屬
고구려발해연구
2008 .11
渤海国号初称 “靺鞨” 再考
고구려발해연구
2006 .12
三國과 渤海史에서의 靺鞨
한국사학보
2015 .02
『三國史記』의 靺鞨문제
인문학논총
2013 .02
‘고구려사에서의 말갈’ 연구의 현황과 과제
동북아역사논총
2018 .09
《三國史記》 〈新羅本紀〉 上代 靺鞨記事의 檢討 : 初期記錄의 紀年을 중심으로
역사와 세계
1993 .06
渤海人이 된 高句麗靺鞨
고구려발해연구
2007 .03
고구려 멸망과 요동지역 말갈인의 향배
대구사학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