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고구려발해학회 고구려발해연구 高句麗渤海硏究 第35輯
발행연도
2009.11
수록면
43 - 72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靺鞨7部의 출현은 勿吉을 포함하여 高句麗가 주변 여러 집단을 일곱 개의 地域單位로 구분하여 인식한 것과 관련이 있다. 渤海時代의 말갈은 고구려 멸망 전후 말갈 7부가 지역집단으로서의 성격을 점차 상실해가며 다시 재편된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말갈은 점차 발해라는 국가테두리 안에 편입되어 발해민이 되었다. 이들 중 말갈로서의 정체성을 계속 유지하며 활동했던 집단에는 鐵利, 拂涅, 越喜, 黑水, 虞婁部등이 있다.
발해는 振國(震國) 초기부터 靺鞨諸部와 연합을 이루며, 唐에 대항하여 성장하였다. 이들의 관계를 짐작할 수 있는 것이 713년 당이 大祚榮을 渤海郡王에 冊封하기 위해 崔??을‘宣勞靺??使’로 파견한 사실이다. 이때 당은 거란과 돌궐을 견제하기 위해 진국 중심의 연합세력인 말갈제부를 함께 끌어들이려고, 崔??을‘冊封使’가 아닌‘宣勞靺??使’로 파견했다. 발해는 이러한 세력재편과 관련하여 8세기 중엽까지 당에 의해 靺鞨, 東藩靺鞨, 渤海靺鞨이라고 불려졌다. 공교롭게도 철리ㆍ불열ㆍ월희의 당 조공 단절과 함께 渤海靺鞨이라는 표현이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증명된다. 이후 발해는 흑수 및 말갈제부의 대외활동을 철저히 통제해 나가면서 점차적으로 발해로 통합해 나갔다. 결국 740년과 741년 이후에는 철리ㆍ불열ㆍ월희의, 752년 이후에는 흑수의 對唐조공을 완전히 차단하면서 복속을 일단락 시키게 된다.
文王代에 말갈제부에 대한 복속이 일단락되면서, 발해는 上京遷都후 발해내지 뿐 아니라 복속지역 전역에 걸쳐 지방제도를 일원화시켜 나갔다. 늦어도 9세기 초가 되면 5京15府62州100여개의 縣으로 정비된다. 이러한 지방제도의 재편은 말갈집단에 대한 편제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말갈에 대한 간접지배를 직접지배로 전환하면서 對日교역에 참여할 수 있는 首領層을 65개 정도의 집단으로 재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정한 集團徙民과 말갈자체의 분화가 동시에 이뤄졌다. 9세기말 이후 新羅및 後唐과 교섭했던 黑水國과 寶露國등의 활동은 발해 남쪽 변경지역으로 이주하였던 집단들의 활동으로 이해된다. 발해 후기에 새롭게 등장한 말갈세력으로는 達??과 女眞을 들 수 있다. 달단과 여진은 본래 흑수말갈로 발해에 役屬되었다가 奚와 契丹의 공격을 받고 흩어져 하나는 여진이, 하나는 달단이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분화는 집단 이주와 함께 흑수말갈 역시 지역집단으로서의 성격을 완전히 상실해 갔음을 보여준다.
말갈 7부의 출현이 고구려의 지역집단 구분인식과 함께 출발했다는 점에서, 고구려멸망 후부터 발해 시기에 걸쳐 말갈의 해체와 재편성에 따른 지역 집단적 성격의 상실은, 말갈이라는 명칭이 사라지게 된 계기가 된다. 이후 압록강 북쪽에 살던 여진이 거란에 의해 東北諸種族을 대표하는 이름으로 인식되면서, 여진으로 대체되었다. 발해와 말갈 관계의 최종 향방을 보자면, 발해의 말갈지배는 그 시기가 짧았기 때문에, 사회발전이 고르지 못한 세력들 간에 각자의 정체성의 차이를 완전히 극복시키지 못했다. 이것은 발해 멸망 이후 渤海遺民과 女眞으로 구분되어 인식되는 원인이 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靺鞨7部의 實體재검토
Ⅲ. 渤海와 靺鞨諸部와의 관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中文抄錄〉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911-0020567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