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유적 개요
3. 석기 쓴 자국 관찰과 분석
4. 석기의 기능에 대한 유추 및 해석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구석기시대 밀개의 사용과 기능에 대한 연구 - 중부지방 출토 석영 밀개를 중심으로 -
한국구석기학보
2018 .01
원주 지역 구석기 문화의 성격과 특징
역사와실학
2016 .08
청주 오송 만수리와 봉산리 구석기 유적군의 후퇴적과정에 대한 시론적 일고찰
한국구석기학보
2020 .01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의 학사적 의의
한국구석기학보
2015 .01
한강 하류역 구석기유적의 조사와 그 성과
고조선단군학
2023 .08
강원도 구석기연구 최근 10년(2008-2017)의 성과와 전망
한국구석기학보
2018 .01
동북아시아 구석기시대의 현장조사법 연구
야외고고학
2018 .01
임진-한탄강유역 구석기유적의 형성과정과 시간성에 대한 고찰
한국구석기학보
2017 .01
원주 송호동 후기구석기 유적의 퇴적환경과 석기구성 연구
인문과학연구
2016 .03
GIS분석을 이용한 경기 광주 유정리 구석기유적의 형성과 범위
한국구석기학보
2020 .01
원주 송호동 후기구석기 유적의 기능과 밀개 연구
백산학보
2016 .01
구석기시대 사용된 자갈돌의 시론적 연구
백산학보
2024 .04
화성 천천리 구석기시대 유적의 검토
유라시아문화
2021 .08
중부내륙 충주분지 일대의 구석기 연구
백산학보
2019 .01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의 성격과 의의 -최근 10년간(2009~2018) 조사·보고된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백산학보
2018 .01
밀개의 형태 분석과 감쇄 과정 — 임진·한탄강 상류 후기 구석기 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2020 .01
중국 수이둥거우(水洞沟)유적의 성격과 특징
한국구석기학보
2017 .01
중부지방 구석기고고학의 쟁점과 유적형성과정의 이해
고고학
2020 .01
구석기시대 석기의 표준화와 장착 논의 검토 -세계 구석기학 연구의 관점에서-
학림
2024 .03
2000년 이후 한국과 일본 구석기 연구의 이슈와 성과
한국구석기학보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