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영국 산업안전규율의 체계와 특징
Ⅲ. 사내하도급근로자들의 안전과 보건에 대한 규율
Ⅳ. 주요 판례
Ⅴ. 한국과의 비교
Ⅵ.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0. 6. 24. 선고 2010도261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0. 12. 23. 선고 2010도1448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5. 29. 선고 2014도3542 판결
사업주가 자신이 운영하는 사업장에서 기계·기구,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 제1항 제1호), 폭발성, 발화성 및 인화성 물질 등에 의한 위험(같은 항 제2호), 전기, 열, 그 밖의 에너지에 의한 위험(같은 항 제3호)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로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채, 근로자에게 안전상의
자세히 보기광주지방법원 2014. 2. 19. 선고 2013노2217 판결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산업안전보건법의 실효성 증대를 위한 규율방향 : 영국과 호주의 사례와의 비교
노동법연구
2015 .09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의 보호를 위한 사용자의 의무와 근로자의 권리
법과 정책연구
2023 .03
외국인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법과정책
2016 .01
사내하도급·위험의 외주화에 대한 법적 규제 : 일본법령의 검토를 중심으로
강원법학
2016 .06
산업안전보건상 도급인 사업주의 책임구조 : 영국 법제와의 비교 연구
강원법학
2016 .06
PRECEDE factors associated with workers' participation i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by business size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18 .01
A Study on the Protection and Prevention of Worker’s Mental Health -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South Korea -
노동법논총
2021 .04
사내하도급과 산업안전보건 거버넌스 : 독일법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강원법학
2016 .06
사회적 가치와 안전에 대한 공법적 고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준비를 위하여-
사회복지법제연구
2020 .01
근로자 건강진단시 정신검진항목의 도입 여부에 관한 법적 연구 : 이른바 ‘감정노동 근로자’의 건강검진을 중심으로
동아법학
2018 .11
안전사고에 대한 사업주책임과 개인책임 : 산업안전보건법위반죄와 업무상과실치사상죄의 관계
노동법연구
2016 .09
[산업안전] 산업안전보건법 책임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노동법률
2024 .12
[지역 노동안전 네비게이션] 산업안전보건 체계의 기초, 근로자건강센터
일터
2023 .02
중대재해처벌법에서의 경영책임자의 범위와 의무에 관한 소고
노동법논총
2021 .12
2021년 노동안전보건 이슈 TOP3_2. 산업안전보건청 : 산업안전보건청 논의, 어디서 시작해서 어디까지 와있나
일터
2021 .12
산업안전보건법상 규제완화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법과 정책연구
2015 .01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의 안전보건조치의무 해석론의 전환 - 대법원 2021. 9. 30. 선고 2020도3996 판결의 시사점 -
노동법논총
2024 .08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에 따른 산업안전보건법의 과제
노동법연구
2021 .09
하도급 노동자 보호를 위한 노동법정책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2018 .09
정신건강 측면에서 본 산업안전보건 현황과 법적 과제
노동법연구
2019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