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균형발전, 수도이전 그리고 헌법
Ⅱ. 지역균형발전이란 무엇인가?
Ⅲ. 지역균형발전의 헌법적 근거
Ⅳ. 지역균형발전의 헌법적 판단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헌법재판소 2005. 11. 24. 선고 2005헌마579,763(병합) 전원재판부
가.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이전하는 기관은 국무총리를 비롯한 총 49개 기관이며 이들을 수평적인 권한배분면에서 보면 이전기관들의 직무범위가 대부분 경제, 복지, 문화 분야에 한정되어 있고 경제의 주요부문인 금융정책을 결정하는 기관들은 제외되어 있다. 수직적인 면에서 보아도 여전히 정부의 주요정책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결정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2. 12. 18. 선고 2002헌마52 전원재판부
가.행정권력의 불행사에 대한 헌법소원은 공권력의 주체에게 헌법에서 유래하는 작위의무가 특별히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어 이에 따라 기본권의 주체가 행정행위를 청구할 수 있음에도 공권력의 주체가 그 의무를 해태하는 경우에 비로소 허용된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6. 4. 25. 선고 92헌바47 전원재판부
가. 심판(審判)의 대상이 되는 법규(法規)는 심판(審判) 당시 유효한 것이어야 함이 원칙이지만 위헌제청신청기각결정(違憲提請申請棄却決定)에 따른 헌법소원심판(憲法訴願審判)은 실질상 헌법소원심판(憲法訴願審判)이라기보다는 위헌법률심판(違憲法律審判)이라 할 것이므로 폐지(廢止)된 법률(法律)이라고 할지라도 그 위헌(違憲) 여부(與否)가 재판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4. 10. 21. 선고 2004헌마554·566(병합) 전원재판부
가.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수도는 국가권력의 핵심적 사항을 수행하는 국가기관들이 집중 소재하여 정치·행정의 중추적 기능을 실현하고 대외적으로 그 국가를 상징하는 곳을 의미한다. 헌법기관들 중에서 국민의 대표기관으로서 국민의 정치적 의사를 결정하는 국회와 행정을 통할하며 국가를 대표하는 대통령의 소재지가 어디인가 하는 것은 수도를 결정하는데 있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6. 12. 26. 선고 96헌가18 전원재판부
가. 헌법재판소는 위헌법률심판절차에 있어서 규범의 위헌성을 【제청법원】이나 【제청신청인】이 주장하는 법적 관점에서만 아니라 심판대상규범의 법적 효과를 고려하여 모든 헌법적 관점에서 심사한다. 법원의 위헌제청을 통하여 제한되는 것은 오로지 심판의 대상인 법률조항이지 위헌심사의 기준이 아니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8. 5. 28. 선고 96헌가4,97헌가6·7,95헌바58(병합) 전원재판부〔합헌〕
1. 자유시장 경제질서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사회국가원리를 수용하고 있는 우리 헌법의 이념에 비추어, 일반불법행위책임에 관하여는 과실책임의 원리를 기본원칙으로 하면서 이 사건 법률조항과 같은 특수한 불법행위책임에 관하여 위험책임의 원리를 수용하는 것은 입법정책에 관한 사항으로서 입법자의 재량에 속한다고 할 것이므로, 이 사건 법률조항이 위험책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1. 6. 28. 선고 2001헌마132 전원재판부
가. 청구인 허윤영, 같은 문현숙 등 소비자들이 그동안 백화점 등의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었던 것은 백화점 등의 경영자가 셔틀버스를 운행함으로써 누린 반사적인 이익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사건 법률조항으로 인하여 더 이상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하더라도, 이는 백화점 등에의 접근에 대한 편이성이 감소되었을 뿐이고, 이로 인하여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현 시기 지역균형발전 정책
공간과 사회
2018 .01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헌법개정 방향
지방자치법연구
2023 .06
국가균형발전정책의 변화를 위한 소고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020 .12
통합적 균형발전정책의 과제: 분권과 균형의 상향적 통합전략의 모색
지방행정연구
2024 .09
공법상 지역균형발전의 특징과 실현구조
공법연구
2023 .02
지역의 위기와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전환
경영과 정보연구
2023 .06
지역균형발전 구조에 관한 헌법적 검토
공법학연구
2016 .11
프랑스 국토균형발전정책의 특징과 시사점
EU학연구
2022 .04
지역균형발전의 접근논리 탐색 : 지역격차 인식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020 .01
새정부와 지역균형발전
충북 Issue & Trend
2022 .03
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제활성화
한국도시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 .12
국가균형발전사업 평가제도의 비판적 고찰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22 .06
지역균형발전 제도에 관한 연구: 대통령소속자문위원회 역할의 제고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23 .03
Understanding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 Korea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2024 .10
예비타당성조사의 지역균형발전 사전가중치 변화가 사업시행에 미치는 영향
예산정책연구
2020 .01
예비타당성조사의 지역균형발전 효과 분석을 위한 다지역 일반균형 모형의 활용
한국지방재정학회 세미나자료집
2022 .11
지역균형발전 정책 전환의 지역 격차 해소 효과 추정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22 .03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국가균형발전정책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18 .11
프랑스 지역균형발전정책과 지역적 통합전략에 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2024 .06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분권에 대한 공법적 고찰
공법연구
2022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