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저널리즘 규범과 실체의 간극: 세월호 언론보도, 무엇이 문제인가?
3. 사회적 책임이론의 재고찰
4. 저널리즘 규범의 패러다임 전환 : 소극적 자유에서 적극적 자유로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취재원 사용의 원칙과 현실 : 세월호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6 .10
세월호 사태의 원인에 대한 법문화적인 분석 : 표현의 자유와 국가후견주의
법학연구
2018 .02
세월호 참사 연구동향과 문헌고찰
Crisisonomy
2024 .07
세월호 참사에 대한 시기별 뉴스 프레임 비교 연구
사회과학연구
2016 .01
세월호 참사 10년은 어떻게 회상되는가? : 〈시사IN〉이 기록한 “세월호 10년, 100명의 기억” 추모 텍스트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2024 .10
“잊지 않겠습니다” : 니모닉 공동체(mnemonic community)의 ‘디지털 의례’ 만들기
한국소통학보
2017 .03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의 생활실태 및 심리상태에 따른 공동체 욕구조사
정책연구
2016 .12
관광여객선 세월호 사건을 통해 본 정부정책결정에 대한 고찰
한국외식산업학회지
2016 .12
예술 실천을 통한 세월호 참사의 기억 운동 - ‘세월호 연극제’를 중심으로 -
사회이론
2022 .11
세월호 특조위의 진상규명 조사활동을 보장하고 세월호 특별법을 개정할 것을 촉구한다
민주법학
2016 .11
세월호 참사로 자녀를 상실한 부모의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18 .01
청소년 자녀와 사별한 부모의 부부관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세월호 유가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18 .01
세월호 참사 관련 사회복지실천 경험 연구
사회복지연구
2019 .01
세월호 사건보도에 나타난 언론의 행동경제학적 편향에 대한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015 .01
What is the President's Successful Crisis Management Leadership?: Based on the Assessment of the Sewol Ferry Disaster Case in Korea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2020 .01
Maternal Narrative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 A Case Study of An Online Mothers" Group in South Korea
정보사회와 미디어
2017 .04
재난위기보도의 시계열⋅매체별 보도 특성- 세월호 사건에 대한 네트워크, 내용분석 적용 -
Crisisonomy
2016 .01
재미한인여성의 트랜스보더 시민활동과 정체성의 정치: 세월호 광고 캠페인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2020 .06
The Impact of Ferry Disasters on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South Korean Coastal Ferry Industry: A DEA-Window Analysis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2018 .01
‘지역’이 바라본 세월호 보도 참사 : 목포MBC 기자들의 세월호 참사 뉴스 생산의 경험과 회고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024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