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인식의 본질 : 無爲
Ⅲ. 인식의 변화 - 깨어남
Ⅳ. 생명으로 살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사회는 왜 ‘비북(非北)’ 조선적자(朝鮮籍者)의 존재를 인식해야 하는가?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4 .11
정보구조 인식 연구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12
‘상호 인식’의 의미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장자 인식론의 미학적 사유 -장자와 칸트의 대상인식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2017 .01
장자와 플라톤의 위상학적 인식론을 통한 근대 인식론의 딜레마 극복 : 장자의 『장자』와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를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03
인식과 증거성, 그리고 인식양태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8 .06
서평의 사회인식론: 이영의 저, 『베이즈주의』의 경우
과학철학
2016 .01
[인터뷰] 이인식
유레카
2016 .10
장자의 ‘胡蝶夢’ : 物化의 구조와 의미
동양철학연구
2016 .01
장자 수양론에서의 은유 : 유가 정명론과의 충돌에서 장자 수양 은유의 가치 창조로
철학논총
2015 .01
변화, 그리고 인간
월간에세이
2025 .04
의미에 대한 물음
자음과모음
2022 .06
다르마끼르띠의 외계대상의 인식에 대한 고찰 - 『양결택(量決擇, Pramāṇaviniścaya)』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2019 .01
莊子의 현실 극복의 지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4 .06
장소 경험을 통한 세계의 인식
인문과학연구
2018 .12
장자철학의 物化와 큰 깨어남
도교문화연구
2015 .05
비인간시에 나타나는 포스트휴머니즘적 인식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11
莊子의 ‘道’와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게슈탈트Gestalt’
동양철학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