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칠석의 수용과 표현방식
Ⅲ. 걸교전의 의례와 상징
Ⅳ.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문학축제의 유형화 연구
인문콘텐츠
2024 .06
금한동 동제의 소도천제(蘇塗天祭) 성격
강원민속학
2021 .09
『좌전』에 나타난 ‘예론 禮論’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5 .08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가 지역축제에 미치는 영향 : 남원 춘향제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2015 .02
윤동주 시 교육과 교과서- 2015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구보학보
2018 .01
Projecting Presence : The 20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Localities
2015 .11
백석과 윤동주 시를 활용한 문학교육의 새로운 접근
동아인문학
2025 .03
『성경(星鏡)』에 기록된 항성: 『의상고성속편(儀象考成續編)』 성표와의 연관성을 고려한 동정
한국과학사학회지
2017 .01
『페어리 여왕』 6권 예절의 덕: 스토아적 물러나기와 자기 돌보기
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
2021 .01
상하이국제영화제의 글로컬적 특징과 함의: 시스템 환경과 운영활동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6 .01
Video of World Festivals as Novelties in Teaching Description Writing Using a Genre-Based Approach
Journal of Pan-Pacific Association of Applied Linguistics
2017 .07
소수민족 축제의 이중적 정체성 – 윈난(雲南) 발수절(潑水節) 축제를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
2019 .01
백제문화제의 정체성과 도시브랜딩 - 회고와 전망을 중심으로 -
외국학연구
2020 .01
『로봇의 별』과 포스트휴먼 상상력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7 .12
한국 ‘도깨비’ 주제 축제 활성화 방안
강원민속학
2021 .03
달집태우기의 전통과 현대적 변화
건지인문학
2016 .01
五路壇作法에 대한 고찰‒ 水陸齋를 中心으로 ‒
한국불교학
2016 .01
전주국제영화제의 주제의식과 콘텐츠 변화 연구
인문콘텐츠
2016 .06
2022 중앙아시아 영화 연구 - 제 27회 부산국제영화제 출품작 《집 팝니다》와 《쑥의 향기》를 중심으로 -
노어노문학
2022 .12
재일한인의 문화공공외교에 대한 연구 – ‘사천왕사왔소’ 축제를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2022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