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들어가며
2. 하층계급의 섹슈얼리티와 인정투쟁
3. 취향과 문화적 배제
4. ‘공위’의 시공간과 균열
5.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하녀>의 표현주의 미장센과 모더니즘 : 수직선을 중심으로 한 스타일 분석
한국예술연구
2017 .06
하녀의 본질적 욕망, ‘돈’의 등가물로서 ‘담배’의 의미: 김기영의 <하녀>에 재현된 식모와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020 .01
『영화연구』 103호 특집논문을 엮으며
영화연구
2025 .03
‘영화연구’를 말한다
영화연구
2024 .06
『영화연구』 제100호에 부쳐
영화연구
2024 .06
[토론]〈하녀들〉
공연과이론
2022 .12
200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통해 바라본 사회ㆍ정치적 담론과 미디어적 현상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6 .03
동시대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에 나타난 재현 전략: 〈우리는 매일매일〉, 〈박강아름 결혼하다 〉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2 .03
[Movie Review] 영화 ‘용감한 시민’
월간 리뷰
2024 .01
교육영화란 무엇인가 : 교육영화의 개념과 수용
씨네포럼
2015 .12
〈버닝〉과 〈기생충〉의 비교 연구: 청년, 계급, 가족, 살인이라는 공통의 키워드
영화연구
2022 .03
청소년 제작 영화에 나타난 자기표현으로서의 재현의 의미
씨네포럼
2020 .04
2016년 한국영화에 대한 비판적 리뷰 -<아가씨>, <곡성>, <부산행>, <동주>, <당신자신과 당신의 것>-
현대영화연구
2017 .01
영화와 시각예술 사이에 있는 ‘영화’, 그 결합에 관하여
월간미술
2023 .06
영화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색 이미지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단편영화 <정희>, <인류 최후의 영화>를 중심으로 (스타일: 논문제목 Gabriel Orozco) 기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03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19 .02
토론문 : 영화와 역사 재현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학술대회
2015 .11
영화 <곡성>에 나타난 원형적 여성성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21 .01
실관람 관객 데이터를 활용한 영화마케팅 방법 연구 : 영화 〈헛소동〉 관람 관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8 .03
청소년 관람 대중영화에 나타난 성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201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