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약어 표기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3.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제2장 미얀마의 개발환경 및 개발수요
1. 개발환경과 정치·경제 상황
가. 신정부 출범 이전 정치·경제
나. 신정부 출범 이후 정치 현황
다. 신정부 출범 이후 경제 현황
2. 빈곤감축 전략 및 국가개발계획
가. 각종 지표 현황
나. 빈곤감축 전략
다. 단기 및 장기 국가개발계획
3. 수원국의 수원정책 및 제도적 환경
제3장 우리나라 및 국제사회의 미얀마 지원 현황
1. 우리나라의 지원 현황
가. 유상원조
나. 무상원조
2. 주요 공여국 및 다자기구의 지원 현황
가. 주요 공여국(기구) 총괄
나. 주요 공여국의 대(對)미얀마 지원 현황과 전략
다. 주요 공여기관의 대(對)미얀마 지원 현황과 전략
3. 국제사회 지원 사례의 시사점
제4장 우리나라의 미얀마에 대한 무역과 투자 현황
1. 한국의 대(對)미얀마 교역 현황과 특징
가. 한국의 대(對)미얀마 교역 현황
나. 한국의 대(對)미얀마 교역 특징
2. 한국의 대(對)미얀마 투자 현황과 특징
가. 대(對)미얀마 외국인투자 현황
나. 한국의 대(對)미얀마 투자 현황과 특징
제5장 우리나라의 개발협력전략
1. 중점협력국 진입과 개발협력전략
가. 중점협력국 진입
나. 미얀마에 대한 개발협력전략
2. CPS 작성 방향
가. CPS의 보완 필요성
나. CPS 작성 지침
다. CPS 평가 대비 고려사항
3. 중점분야 선정 방법과 선정 결과
가. 중점분야 선정 방법
나. 중점분야 선정 결과 및 추진 방향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CPS 평가틀의 평가기준
2. 2015년 총선 결과
3. 2015년 총선 참가 정당
4. 미얀마의 외국인투자 장려분야 및 제한분야
5. 미얀마의 투자인센티브제도
Executive Summary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An Analysi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s ODA to Myanmar and Macroeconomic Factors in Myanmar: A Time Series Analysis using ARDL Approach
세계지역연구논총
2019 .01
An Analysi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s ODA to Myanmar and Macroeconomic Factors in Myanmar: A Time Series Analysis using ARDL Approach
세계지역연구논총
2019 .01
미얀마의 개혁 ‧ 개방과 미국의 대 미얀마 전략: 미얀마의 군부 주도 개혁 ‧ 개방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016 .06
미얀마 연구자들, 분석의 언어로 미얀마의 희망을 논하다
동남아시아연구
2024 .05
미얀마의 사법제도와 물권법
일감법학
2016 .01
한국-미얀마 유아교육개발협력 공적개발원조(ODA) 지원방안연구
유아교육연구
2017 .01
미얀마의 대외관계 정상화 경험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KIEP] 연구자료
2019 .09
미얀마 통신법의 형성과 주요 이슈
과학기술법연구
2015 .01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미얀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20 .12
미얀마의 농림업분야 개발협력 방안
[KIEP] ODA정책연구
2018 .12
An Assesment on Cultural and Social Changes of Myanmar under State Controlled System: Focusing on Mass - media and Cinema
글로벌문화연구
2022 .08
미얀마 불복종 운동 시기 한국어 교육 현황 및 지원 방안 연구
동남아연구
2022 .04
중국-미얀마 관계의 지속과 변화 : 미얀마 3차 군부쿠데타 발생과 지정학적 부상 요인을 중심으로
중소연구
2021 .08
공적개발원조(ODA)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얀마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016 .01
동남아시아 체제전환국가의 대외원조 활용 전략 비교연구: 베트남과 미얀마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019 .12
체제변동국가의 경험과 북한의 변화 : ‘미얀마 모델’의 적용 가능성
국제지역연구
2018 .07
전환기 미얀마 개혁개방 10년의 도전과 위기: 국가발전정책-지식-권력의 국내외 역동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연구
2022 .05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를 규탄하고, 미얀마 노동자ㆍ민중의 저항을 지지한다.
민주법학
2021 .01
ASEAN의 ODA 중점협력국에 대한 지원 현황과 특징
[KIEP] 기초자료
2019 .06
코로나19가 미얀마에 미치는 위협과 이에 대한 대응
동남아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