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개인정보보호 관리등급제 도입의 필요성
Ⅲ. 국내외 개인정보보호 평가제도 현황
Ⅳ. 개인정보 보호 관리등급의 평가모델 설계 및 사전 프레임구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2. 12. 26. 선고 2011다59834,59858,59841 판결
[1]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자가 수집한 개인정보를 피용자가 정보주체의 의사에 반하여 유출한 경우, 그로 인하여 정보주체에게 위자료로 배상할 만한 정신적 손해가 발생하였는지는 유출된 개인정보의 종류와 성격이 무엇인지, 개인정보 유출로 정보주체를 식별할 가능성이 발생하였는지, 제3자가 유출된 개인정보를 열람하였는지 또는 제3자의 열람 여부가 밝혀지지 않았다면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2다49933 판결
[1]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을 규정한 헌법 제10조 제1문에서 도출되는 일반적 인격권 및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에 의하여 보장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자신에 관한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또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를 정보주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이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대상이 되는 개인정보는 개인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12. 13. 선고 2007다18959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8. 7. 24. 선고 96다42789 판결
[1] 문서제출명령에 응하지 아니한 사정 등을 종합하여 문서에 관한 상대방의 주장을 진실한 것으로 인정한 사례.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개인정보침해 피해 심각성에 대한 우려가 개인정보권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2016 .01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범위에 대한 분석 : 개인정보의 개념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2017 .08
일본 개정개인정보보호법의 주요내용과 그 시사점
공법학연구
2017 .11
개인정보 관련 민사판례 동향과 전망
법조
2021 .08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공개된 개인정보의영리목적 활용
법과 정책연구
2019 .01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체계상 감독기구 법제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헌법연구
2017 .08
빅데이터 환경과 개인정보 보호방안
헌법재판연구
2017 .12
개인정보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개인건강정보보호에 관한 헌법적 고찰: 공공영역에서의 개인건강정보보호를 중심으로
아주법학
2016 .01
우리나라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개인정보보호 거버넌스관점을 중심으로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2021 .11
Perception of Privacy and Sensitivity of Personal Inform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15 .10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법이론실무연구
2018 .02
개인정보 관련 민사 판례의 최근 동향과 바람직한 해석론의 방향
인권과 정의
2022 .08
빅데이터 시대 개인정보의 형법적 보호
비교형사법연구
2022 .04
코로나19 시대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 – 감염병 예방법상의 개인위치정보 공개규정을 중심으로 –
헌법학연구
2021 .01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적 문제와 개인정보보호법제 개선방향
공법연구
2016 .12
개인정보 보호 원칙 구현을 위한 입법절차 개선방안
성균관법학
2024 .12
초등학생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지식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15 .01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저스티스
2017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