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며
2. 다시쓰기, 다시 쓴 『안네의 일기』
3. 분석 텍스트 소개 및 논의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번역문의 곁텍스트 : 주변텍스트와 바깥텍스트에 대한 정의
번역학연구
2015 .03
곁텍스트의 경계: 쿠루마(Ahmadou Kourouma) 소설의 제목 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2018 .01
번역서의 온라인 곁텍스트와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통시적 연구: ‘오만과 편견’을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23 .09
파라텍스트의 병치와 융합: 프란시스 버몬트의 『불타는 절구봉의 기사』를 중심으로
영어영문학
2022 .08
J. M. 쿳시의 소설과 파라텍스트 -『예수의 유년시절』의 제목이 갖는 함의에 관하여
영어영문학
2016 .01
『걸리버 여행기』의 곁텍스트 연구 : 번역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19 .03
시대별로 살펴본 『걸리버 여행기(Gulliver's Travels)』 원본 곁텍스트와 번역본 곁텍스트의 비교
통번역학연구
2019 .01
그림책의 파라텍스트에 나타난 번역전략 : 『코끼리 아이』를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16 .12
문학번역의 곁텍스트 리프레이밍 : 소설 『허삼관매혈기』를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16 .12
「양반전」영역에서 곁텍스트 전개에 관한 소고
번역학연구
2021 .03
한국 영화 영어 더빙 곁텍스트 분석 : 1960-70년대 영화 세 편을 중심으로
통역과 번역
2020 .01
최인훈 비평에서의 관념 비판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2022 .12
한반도 주변국에서는 북한 작가 반디의 『고발』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일본과 대만 번역서 곁텍스트 고찰
번역학연구
2022 .09
《閨範》与明末诸“列女傳”的副文本研究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21 .11
문학비평의 사회적 실천을 향하여 - 이데올로기 이론으로 텍스트를 비추어 봄
영어영문학
2017 .01
선군사상에 대한 전통사상의 영향
통일인문학
2018 .12
The “Concealed Passive” Construction Needs Investigating Diachronically
언어학 연구
2018 .04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젠더/여성/페미니즘 관련 번역서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의 변화: 표지 이미지와 책제목을 기반으로
통역과 번역
2021 .01
북한 아동잡지의 체제와 아동 글쓰기의 이데올로기 내면화 경향 연구 - 김정은 시대의 정기간행물 『아동문학』(2014~2017년)을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9 .06
Language Ideologies i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Policy in Korea: A Sociohistorical Perspective
영어영문학
2020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