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협약과 관련된 실질친자법의 비교법적 검토
Ⅲ. 협약의 목적 및 운용에 관한 친자법적 재해석
Ⅳ. 협약의정서에 대한 논의와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대법원 2010. 5. 13. 선고 2009므1458,1465 판결
[1] 자의 양육을 포함한 친권은 부모의 권리이자 의무로서 미성년인 자의 복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가 이혼하는 경우에 부모 중 누구를 미성년인 자의 친권을 행사할 자 및 양육자로 지정할 것인가를 정함에 있어서는, 미성년인 자의 성별과 연령, 그에 대한 부모의 애정과 양육의사의 유무는 물론, 양육에 필요한 경제적 능력의 유무, 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4. 13. 선고 2011므4719 판결
[1] 자의 양육을 포함한 친권은 부모의 권리이자 의무로서 미성년인 자의 복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부모가 이혼하는 경우에 부모 중에서 미성년인 자의 친권을 가지는 사람 및 양육자를 정함에 있어서는, 미성년인 자의 성별과 연령, 그에 대한 부모의 애정과 양육의사의 유무는 물론, 양육에 필요한 경제적 능력의 유무, 부 또는 모와 미성년인 자 사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6. 20. 선고 2010도14328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형법 제287조의 미성년자약취죄, 제288조 제3항 전단[구 형법(2013. 4. 5. 법률 제1173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제289조 제1항에 해당한다]의 국외이송약취죄 등의 구성요건요소로서 약취란 폭행, 협박 또는 불법적인 사실상의 힘을 수단으로 사용하여 피해자를 그 의사에 반하여 자유로운 생활관계 또는 보호
자세히 보기수원지방법원 2013. 6. 28.자 2013브33 결정
甲과 乙이 이혼하면서 자녀 丙과 丁의 각 친권자 및 양육자로 지정되었는데, 형제간인 丙과 丁의 면접교섭을 인정할 것인지 문제 된 사안에서, 민법상 명문으로 형제에 대한 면접교섭권을 인정하고 있지는 아니하나 형제에 대한 면접교섭권은 헌법상 행복추구권 또는 헌법 제36조 제1항에서 규정한 개인의 존엄을 기반으로 하는 가족생활에서 도출되는 헌법상의 권리로서 특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5. 2. 26. 선고 84므86 판결
미성숙 자녀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부모가 이혼함에 있어 부모 중 일방을 자의 양육자로 지정하고 타방은 이에 대하여 자의 양육비를 지급하기로 협정하였다면 이는 민법 제837조, 제976조, 제977조의 규정에 의하여 유효하다 할 것이고, 이러한 경우 협정의 범위내에서는 과거의 양육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결혼이민자의 아동탈취와 헤이그 협약의 적용
가천법학
2015 .01
헤이그아동보호협약의 실무적 운용에 관한 해석론적 고찰
국제사법연구
2023 .06
국제아동탈취사건 해결 정책에 관한 글로벌 비교연구
현대사회와다문화
2018 .06
한국과 프랑스의 국제아동반환 사례에서의 법원의 판단과 시사점
다문화사회연구
2017 .02
헤이그 국제아동탈취협약상 청구요건 검토 ―아동의 상거소 및 양육권 침해의 불법성을 중심으로―
가족법연구
2023 .03
헤이그 국제아동탈취 사안에서 민간단체에 의한 자율적 합의지원(Co-mediation) 모델의 검토
법학연구
2018 .08
헤이그 아동탈취협약과 가족생활에 관한 기본권 : 유럽인권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2018 .12
헤이그협약에 따른 가족합의에 관한 실무지침 연구
국제사법연구
2019 .06
미국 판례에 나타난 헤이그아동탈취협약상 상거소와 결정기준의 설정
외법논집
2021 .11
헤이그국제부양청구협약에의 가입가능성 모색을 위한 해석론적 접근 : 특히 중앙당국의 행정적 협력 및 기능을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2015 .12
부모일방의 자녀탈취와 양육권 확보를 위한 법적 과제
법학연구
2015 .03
The Hague Convention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Recent Trends of Law & Regulation in Korea
2019 .03
한국의 헤이그국제사법회의 가입 20주년을 기념하여 : 회고, 현상과 전망
국제거래와 법
2017 .08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의 적용 범위를 결정하는 일상거소에 관한 연구
이화젠더법학
2023 .12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유아 참여’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2023 .11
국제 조정을 통한 합의서 집행협약 (“싱가포르 협약”)
서울국제법연구
2019 .06
국내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연구동향 고찰 : 1990년대 이후 아동권리 연구의 총체적 분석
아동과 권리
2022 .08
[토론문] 헤이그 아동탈취협약과 가족생활에 관한 기본권
국제사법연구
2018 .12
[토론문] 헤이그 아동탈취협약과 가족생활에 관한 기본권
국제사법연구
2018 .12
헤이그성년자보호협약에의 가입가능성 모색을 위한 해석론적 고찰
국제사법연구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