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한국이 가입한 헤이그협약의 주요내용과 가입 시 한국이 취한 조치
Ⅲ. 헤이그협약이 한국 국제사법의 입법에 미친 영향
Ⅳ. 한국이 장래 가입을 검토해야 할 헤이그협약들
Ⅴ. 헤이그회의 가입의 의의와 우리의 장래 과제
Ⅵ. 필자의 개인적 경험, 추억과 단상
Ⅶ. 맺음말
Ⅷ. 관련문제: 대법원의 IP 허브 코트(Hub court) 구상과 관련하여
참고문헌
[국문요약]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다19093 판결
[1] 외국 법원의 관할을 배제하고 대한민국 법원을 관할법원으로 하는 전속적인 국제관할의 합의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당해 사건이 외국 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지 아니하고, 대한민국 법원이 대한민국법상 당해 사건에 대하여 관할권을 가져야 하는 외에, 당해 사건이 대한민국 법원에 대하여 합리적인 관련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며, 그와 같은 전속적인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3. 24. 선고 2004두11275 판결
[1]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55조의2 및 이에 근거한 `공정거래위원회 회의운영 및 사건절차 등에 관한 규칙’(공정거래위원회 고시 제2001-8호) 제3조 제2항에 의하여 준용되는 구 행정절차법(2002. 12. 30. 법률 제683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1항은 문서의 송달방법의 하나로 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1. 28. 선고 2015다207747 판결
[1]민사소송법 제217조 제1항 제2호는 외국법원의 확정판결 또는 이와 동일한 효력이 인정되는 재판의 승인요건으로 `패소한 피고가 소장 또는 이에 준하는 서면 및 기일통지서나 명령을 적법한 방식에 따라 방어에 필요한 시간여유를 두고 송달받았거나 (공시송달이나 이와 비슷한 송달에 의한 경우를 제외한다) 송달받지 아니하였더라도 소송에 응하였을 것’을 규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10. 15. 선고 2015다1284 판결
[1] 민사소송법 제217조의2 제1항은 “법원은 손해배상에 관한 확정재판 등이 대한민국의 법률 또는 대한민국이 체결한 국제조약의 기본질서에 현저히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경우에는 해당 확정재판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승인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징벌적 손해배상과 같이 손해전보의 범위를 초과하는 배상액의 지급을 명한 외국법원의 확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4. 10. 28. 선고 2002다74213 판결
[1] 민사집행법 제27조 제2항 제2호, 민사소송법 제217조 제3호에 의하면 외국법원의 확정판결의 효력을 인정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선량한 풍속이나 그 밖의 사회질서에 어긋나지 아니하여야 한다는 점이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의 요건인바, 외국판결의 내용 자체가 선량한 풍속이나 그 밖의 사회질서에 어긋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Hague Convention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Recent Trends of Law & Regulation in Korea
2019 .03
헤이그아동보호협약의 실무적 운용에 관한 해석론적 고찰
국제사법연구
2023 .06
「2007년 헤이그 부양준거법 의정서」에 관한 작은 연구 -1973년 헤이그 부양준거법협약 및 한국 국제사법의 부양준거법 규정의 비교와 함께-
국제사법연구
2019 .12
헤이그협약에 따른 가족합의에 관한 실무지침 연구
국제사법연구
2019 .06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의 적용 범위를 결정하는 일상거소에 관한 연구
이화젠더법학
2023 .12
영국법상 Hague-Visby 규칙의 강행적 적용에 따른 지상약관의 효력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2019 .12
2019년 헤이그 재판협약 성안과정에서의 지식재산권에 관한 논의 경과와 향후 진행방향에 대한 검토
국제사법연구
2020 .12
헤이그국제아동탈취협약의 이행에 있어서 친자법적 재고찰
국제사법연구
2017 .06
신탁의 준거법이 규율하는 사항의 범위
국제사법연구
2024 .12
한국과 프랑스의 국제아동반환 사례에서의 법원의 판단과 시사점
다문화사회연구
2017 .02
中国对于《海牙国际商事合同法律选择原则》的立场
법학연구
2017 .11
헤이그입양협약 비준을 위한 2018년 “국제입양에 관한 법률안”에 대한 검토
가족법연구
2019 .01
海牙取证公约在中国的实施与实践 : 兼及对中韩双边协议的影
법학연구
2017 .11
헤이그 국제아동탈취협약상 청구요건 검토 ―아동의 상거소 및 양육권 침해의 불법성을 중심으로―
가족법연구
2023 .03
결혼이민자의 아동탈취와 헤이그 협약의 적용
가천법학
2015 .01
헤이그 재판협약과 민사소송법 개정 논의의 필요성- 관할규정의 현대화 및 국제화를 지향하며 -
인권과 정의
2020 .01
헤이그성년자보호협약에의 가입가능성 모색을 위한 해석론적 고찰
국제사법연구
2022 .06
국제아동탈취사건 해결 정책에 관한 글로벌 비교연구
현대사회와다문화
2018 .06
베트남의 국제민사사법공조 – 송달협약과 증거협약을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2021 .06
헤이그국제부양청구협약에의 가입가능성 모색을 위한 해석론적 접근 : 특히 중앙당국의 행정적 협력 및 기능을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