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암묵지와 네트워크로 읽는 테크노사이언스: 홍성욱,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동아시아, 2016)
과학철학
2017 .01
동아시아 연구에 관한 첫 고민: 『왜 동아시아인가』
통일인문학
2021 .06
1945년 이후의 조선시대사 연구와 유교근대론/ 동아시아론에 대한 post-colonial / trans-national한 관점에서의 비판적 분석과 제언
코기토
2017 .10
인간적인 삶이 가능한 성숙한 사회를 위한 가치 탐구 : 김경동, 『사회적 가치: 문명론적 성찰과 비전』(푸른사상, 2019)
철학과 현실
2020 .06
동아시아의 미래, ‘나’를 향한 길 찾기
역사비평
2015 .11
유교윤리의 사회통합적 가능성과 한계
공존의 인간학
2021 .02
중국의 유교 부흥과 시민정신의 발현 가능성
지식의 지평
2016 .05
淸末 윌리엄 알렉산더 파선스 마틴(W. A. P. Martin)의 儒敎思想에 대한 認識 -<<天道溯源>>과 The Lore of Cathay의 內容을 中心으로-
중국사연구
2016 .01
탈경계 시대, 여성주의적 유교는 가능한가?
시대와 철학
2017 .03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한 유교 인물 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유학연구
2020 .01
동아시아지구시민촌과 평화순례를 다녀와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6
한‧중 유교의 발전과 교육에 미친 영향
철학∙사상∙문화
2017 .01
유교가 한국 초기 기독교 성장에 끼친 영향
복음과 선교
2022 .12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지역연대
통일인문학
2016 .03
유교 이상사회론에 대한 연구 -『예기』 「예운」편의 대동사상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2017 .03
‘우리’의 동아시아사 깊이 읽기 - 『동아시아사 입문』 (동북아역사재단, 2020)
동북아역사논총
2021 .09
일본의 시민사회와 시민사회론
지식의 지평
2016 .05
동아시아사 수업과 평화 인식
동북아역사논총
2015 .03
낙동강의 유교문화적 가치와 의미
안동학
2023 .12
동아시아담론과 동아시아사의 해후 ― 지구지역사의 새로운 길 ―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