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Bo Tu (Dong-A University)
저널정보
21세기정치학회 21세기정치학회보 21세기정치학회보 제27집 제3호
발행연도
2017.9
수록면
167 - 192 (2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중국의 일대일로는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국가들에게 확대되고 이들의 참여와 지지를 이끌어내고 있다.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이에 대해 여전히 참여를 고려중이거나 반대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인도는 일대일로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뚜렷이 나타내고 있는 국가 중에 하나이다. 인도는 중국을 강력한 경쟁국가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 인도가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것에 있어 중국이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인도의 모디총리는 취임 후 중국과의 일대일로에 대해 모호하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취해왔으며, 몬순플랜(Monsoon project), 향료지로(Spice route) 등을 통해 일대일로를 견제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일대일로가 진전되고 확대됨에 따라 인도는 중국의 위협이 커지는 것을 인식하였고, 일대일로에 대한 인도의 헤징 전략이 역부족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2017년 인도는 중국이 개최한 일대일로 정상회담에 대한 참석을 거절하는 것으로 중국과의 협력에 대해 더욱 강한 거절의 의사를 나타내는 한편, 일본과의 연합을 통해 아시아-아프리카 발전회랑(Asia Africa growth corridor)을 구축함으로써 더욱 강한 헤징 전략을 시행하려 하고 있다. 본 논문은 헤징 전략이론을 토대로 중국 일대일로에 대한 인도의 발전적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것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지역협력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Reviews of the related research and the application of hedging strategy in international studies
Ⅲ. Analysis on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India’s hedgingstrategies against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Ⅳ. Developmental changes’ effect of India“s Hedging Strategyon Indo-Pacific regional cooperat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참고문헌 (3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