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면서
2. 일본의 영유권 논리조작 실태
3. 맺으면서
【참고문헌】
〈要旨〉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소타케시마’ 어원에 관한 일고(一考)
영토해양연구
2016 .12
일본열도의 ‘다케시마(竹島), 마쓰시마(松島)’ 이름의 섬들
영토해양연구
2024 .06
‘죽도문제연구회’의 「평화선」에 대한 사실 날조 방식
일본문화학보
2017 .05
죽도문제연구회의 실상과 허상 : 좌장 시모조 마사오(下絛政男)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7 .05
‘리앙쿠르 록스’ 명칭의 전승과 잔존의 역사적 배경
영토해양연구
2022 .06
울릉도, 독도의 옛 이름 대섬[竹島], 솔섬[松島]의 뜻
역사학보
2019 .03
「元禄竹島一件」(欝陵島争界)の解決における 対馬藩家臣の役割 : 「竹嶋紀事」と「竹島文談」を中心に
일본문화연구
2015 .04
근대 독도 포함 해양 관련 역사분야의 성과와 한계
동북아역사논총
2016 .09
일본 시마네현의 이른바 ‘죽도의 날[竹島の日]’ 조례 제정에 대한 한국 정부와 국회의 대응
영토해양연구
2019 .06
독도의 소속 및 호칭에 관한 미국 정부의 인식 변화
영토해양연구
2020 .06
독도와 한일관계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대한 고찰
일본문화학보
2017 .08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의 문언적 해석
일본문화학보
2017 .02
『長生竹島記』의 天下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일본 내각관방의 독도 홍보 영상 분석
동양고전연구
2022 .12
韓日両国の独島/竹島固有領土論の争点
독도연구
2018 .12
일제강점기 일본어 자료에 나타난 ‘울릉도의 屬島로서의 독도’ 인식
독도연구
2020 .01
한·일 교과서 독도 기술 변화와 독도 인식 - 한·일 초등(소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독도연구
2023 .06
19세기 중엽, 『죽도잡지』로 보는 일본인의 울릉도,독도 인식
일본문화학보
2016 .02
우리나라 초등학교 독도 교육정책 및 독도 교재 분석
독도연구
2020 .01
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 -<죽도기사>·<죽도고>·<원록각서>를 중심으로-
독도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