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논문요지
Ⅰ. 들어가며
Ⅱ. 일본 재판례의 소개
Ⅲ. 심리적 하자 개념의 수용가능성
Ⅴ. 결론에 갈음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1997. 5. 7. 선고 96다39455 판결
[1]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공급한 부품이 통상의 품질이나 성능을 갖추고 있는 경우, 나아가 내한성이라는 특수한 품질이나 성능을 갖추고 있지 못하여 하자가 있다고 인정할 수 있기 위하여는, 매수인이 매도인에게 완제품이 사용될 환경을 설명하면서 그 환경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한성 있는 부품의 공급을 요구한 데 대하여, 매도인이 부품이 그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6. 26. 선고 2000다44928,44935 판결
[1] 주거의 일조는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에 필요한 생활이익으로서 법적 보호의 대상이 되는 것이며, 어떤 토지의 거주자가 인접한 타인의 토지 위를 거쳐서 태양의 직사광선을 받고 있는데, 그 인접 토지의 사용권자가 건물 등을 건축함으로써 직사광선이 차단되는 불이익을 입게 되고, 그 일조방해의 정도가 사회통념상 일반적으로 인용하는 수인한도를 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0. 4. 29. 선고 2007다9139 판결
[1] 아파트 분양계약에서의 분양자의 채무불이행책임이나 하자담보책임은 분양된 아파트가 당사자의 특약에 의하여 보유하여야 하거나 주택법상의 주택건설기준 등 거래상 통상 갖추어야 할 품질이나 성질을 갖추지 못한 경우에 인정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1. 18. 선고 98다18506 판결
[1] 매매의 목적물이 거래통념상 기대되는 객관적 성질·성능을 결여하거나, 당사자가 예정 또는 보증한 성질을 결여한 경우에 매도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그 하자로 인한 담보책임을 부담한다 할 것이고, 한편 건축을 목적으로 매매된 토지에 대하여 건축허가를 받을 수 없어 건축이 불가능한 경우, 위와 같은 법률적 제한 내지 장애 역시 매매목적물의 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10. 27. 선고 2000다30554,30561 판결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공급한 기계가 통상의 품질이나 성능을 갖추고 있는 경우, 그 기계에 작업환경이나 상황이 요구하는 품질이나 성능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하여 하자가 있다고 인정할 수 있기 위하여는, 매수인이 매도인에게 제품이 사용될 작업환경이나 상황을 설명하면서 그 환경이나 상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제품의 공급을 요구한 데 대하여, 매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6. 1. 선고 2005다5812,5829,5836 판결
[1] 청약은 이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승낙과 결합하여 일정한 내용의 계약을 성립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확정적인 의사표시인 반면 청약의 유인은 이와 달리 합의를 구성하는 의사표시가 되지 못하므로 피유인자가 그에 대응하여 의사표시를 하더라도 계약은 성립하지 않고 다시 유인한 자가 승낙의 의사표시를 함으로써 비로소 계약이 성립하는 것으로서 서로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민법상 하자개념의 확장 논의 : 이른바 심리적 하자개념의 법리검토를 중심으로
동아법학
2018 .08
하자담보책임에 있어 하자추정을 통한 입증책임의 전환 - 독일민법 제477조와 우리법에의 시사점 -
법학연구
2022 .09
블랙컨슈머의 하자 주장에 대한 매도인의 권리 보호 - 하자담보책임과 소송상의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
법학논고
2023 .10
매매목적물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재산법연구
2021 .01
국제건설계약에서 하자담보책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중앙법학
2018 .09
집합건물의 하자담보책임
집합건물법학
2020 .01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 – 라이선스계약에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서강법률논총
2023 .10
주문하지 않은 물건의 배송과 멸실에 관한 책임
재산법연구
2018 .01
민법상 유치권의 “채권과 물건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2019 .06
개정 독일매매법에 있어서 하자판단의 기준의 변화 - 소비자매매에 있어서 매매목적물의 성상에 관한 당사자들의 합의에 대한 독일민법 제476조의 의미와 관련하여 -
연세법학
2024 .02
건축하자의 개념에 대한 소고
사법
2017 .01
경험세계에 있어서 공간의 성질과 지역 관련 학문에의 함의
지역사회연구
2025 .03
건축물 하자담보책임제도에 관한 관련법령 및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부동산분석
2021 .07
착오와 담보책임의 경합에 관한 해석론적 쟁점-대법원 2018. 9. 13. 선고 2015다78703 판결을 중심으로-
홍익법학
2019 .01
질병권의 관점에서 만성질환자의 노동권을 이야기하기
일터
2021 .04
헌 물건을 새 물건으로 고쳐서 되파는 송파구 새활용센터! - 탄소중립사회 선도한다
지방정부
2023 .05
물건 개념 재검토 - 민법의 개정 방향과 관련하여 -
법조
2021 .01
집합건물의 하자담보책임
집합건물법학
2018 .01
공동주택의 하자보수책임과 손해배상책임
집합건물법학
2015 .01
공동주택의 하자에 있어서 하자보수우선의 원칙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