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머리말
II. ‘國邑’의 용례와 의미
III. 大 · 小國의 구분과 國邑의 분포
IV. 國邑과 別邑의 관계와 발전과정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5~6세기 義邑의 造像 활동과 華北 地域社會 有力者의 관계 - 義邑 구성원과 邑職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0 .08
고려전기 경기의 설치와 그 의미
한국중세고고학
2018 .12
韓半島에 輸入된 琉璃구슬의 變化過程과 經路 -初期鐵器~原三國期를 중심으로-
호서고고학
2017 .01
北朝 시기 山西 西南部 지역의 義邑의 활동과 구성에 관하여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04
16세기 노수신의 진도(珍島) 유배와 주민과의 교우 -노수신의 『소재집(穌齋集)』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4 .05
후석 천관우의 고조선사·삼한사 연구
백산학보
2017 .01
고려시대 동래현의 치소(治所)와 치소성
한국중세고고학
2018 .06
A Sociolinguistic Considerations of Linguistic Landscapes in Jeju
언어학연구
2017 .01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견훤・왕건의 攻防 : 왕건・견훤의 서한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6 .12
1915~1921년도 구황실(李王家) 재정의 구성과 그 성격에 관한 고찰
장서각
2016 .04
古代 邑城村의 변천과 民俗마을의 保存 : 중국고대 邑里와 관련하여
비교민속학
2017 .08
원삼국시대 경주 인동리 분묘유적의 성격
영남학
2022 .09
[읍면자치 공동행동] 농촌 미래 바꿀 ‘읍면자치권’ 확보 운동 본격화 : ‘읍면자치권 확보를 위한 풀뿌리 공동행동’ 집담회 현장
월간 옥이네
2025 .03
고대 문헌에 보이는 ‘方’, ‘邦’, ‘或’, ‘邑’의 규모 정립
중어중문학
2024 .09
北朝시기 義邑造像記 자료의 성격과 가치
중국고중세사연구
2019 .11
고대 중국 都邑 건설에서의 巫祝 의식
목간과문자
2018 .06
영산강유역 마한 초현기의 분묘와 정치체의 형성
호남고고학보
2017 .01
[공모시] Sweet Town 외 2편
황해문화
2022 .12
정치적 수사의 완성작, <兩都賦> — 洛邑을 노래하여 예의를 설득하다 —
중국어문학지
2017 .01
변한 ‘國’의 형성과 발전 : 다호리유적을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16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