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의제설정 및 규제정치
Ⅲ. 국제 자연보호 제도와 제주도의 등재 과정
Ⅳ. 단계별 의제설정 및 규제정치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Education, Peac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ocess of Designation of Jeju 4.3 Victim Records as UNESCO World Program of Memory
World Environment and Island Studies
2021 .09
UNESCO 협력학교의 효과성 분석 연구
글로벌교육연구
2021 .09
UNESCO 참여연구 : 한국의 시험문화와 학습자에 대한 영향 (OR2017-01)
[KEDI] 연구보고서
2017 .01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방안 연구
관광연구
2019 .01
제주 자연환경과 문화를 활용한 초등 5, 6학년 미술과 교육과정 지역화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015 .08
Korea Community Care into Global Humanity
World Environment and Island Studies
2019 .01
‘내부 정치’와 ‘외부 정치’ 사이의 풀뿌리 자치 1 : 경남 합천군의 ‘일해공원’ 명칭 선정 추진의 지체 과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2023 .04
DMZ의 UNESCO 세계유산 등재 가능성 및 기대효과
비교경제연구
2017 .12
니체의 위대한 정치와 선한 유럽인의 세계시민적 덕성
교양학연구
2021 .01
Registering 1947 Records of Legal Cases of 328 People Involved in the Demonstrations Into One of UNESCO’s World Programs of Memory Proposed.
World Environment and Island Studies
2017 .12
‘유네스코 3관왕’ 관련 ≪한라일보≫ 기획보도의 특징과 정책의제 형성과정에서 미디어의 역할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018 .01
청년세대의 정치: 정치의 주변화인가 새로운 정치의 등장인가
사회과학연구논총
2020 .10
지방정치의 중앙정치에의 예속화? 지방정치의 실제와 작동
연구방법논총
2021 .11
맹자의 사상적 대결과 유학의 정통성 확립
윤리교육연구
2016 .01
유네스코 세계유산과 제주의 브랜드 개성으로부터의 제주의 브랜드 가치측정: 관광목적지 브랜드 개성, 브랜드 적합성, 브랜드 가치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022 .04
한국의 ‘반정치(anti-politics)’ 현상에 대한 분석적 검토
현대정치연구
2021 .12
청송 세계지질공원 관리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2018 .09
유네스코 등재유산에 대한 환경영향인식, 지역애착심 및 주민의 지지 간의 구조적 관계: 중국 쓰촨성 청두시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레저연구
2022 .04
음식과 먹기의 감정정치: 공포와 희망의 변증법
사회와이론
2019 .11
16세기 제주도의 위기와 流民 증가 그리고 출륙금지령
제주도연구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