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세시관련 민요가 세시가요의 하위 범주로 다뤄지면서 노래 속에서 담긴 세시풍속의 성격과 기능이 구체적으로 고찰되지 못한 기존의 연구에 대한 반성으로, 세시 관련 민요의 범주를 재설정하고, 이에 담긴 세시풍속의 의미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시민요를 ‘세시행사에 연행되는 노래’라고 정의하면서, 세시를 소재로 하지만 세시풍속에 연행되지 않는 노래를 지칭할 개념이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노래들은 ‘민요계 세시가요’로 범주화되기는 하지만 민요계 세시가요는 세시행사에서 연행되는 세시민요 또한 포괄하고 있다. 즉 사전적 정의를 바탕으로 한 ‘세시민요’가 아우르지 못하는 소재적 측면의 민요계 세시가요에 다시 세시민요가 포함되는 중복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민요계 세시가요가 포괄하는 세시를 소재로 한 민요, 세시에 연행되는 민요는 세시풍속을 중심에 두고 생각할 때, 세시성을 발현하는 것에서 차이를 가질 수밖에 없는 바, 양자를 구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세시를 소재로 한 세시민요와 세시에 연행되는 세시민요 모두를 ‘세시민요’, 혹은 ‘세시 관련 민요’라 칭하고, 이들을 다시 ‘세시 소재 민요’와 ‘세시 연행 민요’로 구분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들에서 세시풍속이 어떤 형태로 구현되며 의미를 창출하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는 단순히 세시 소재 민요에서 볼 수 있는 세시풍속의 양상을 나열하고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민요 속 세시풍속의 의미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하고자 함이다. 먼저 본고는 세시풍속의 다양한 성격과 기능 가운데 네 가지를 핵심으로 세시민요를 고찰하였다. 즉, 세시풍속의 성격으로 ‘주기성’과 농업성’, 세시풍속의 기능으로 ‘종교성’과 ‘사회성’이 그것이다. 세시풍속의 성격과 기능은 다양하지만 본고에서는 세시성의 핵심으로서 ‘주기성’, ‘농업성’, ‘종교성’, ‘사회성’을 거론하여 세시 소재 민요와 세시 연행 민요를 고찰하였다. 이 가운데 세시 소재 민요는 주기성과 농업성을, 세시 연행 민요는 종교성과 사회성을 주된 표지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세시 소재 민요는 세시의 현장에서 불리지 않기 때문에 세시풍속의 기능적인 면보다는 성격적인 면을 파악하기가 용이하다. 반면 세시 연행 민요는 세시풍속의 성격을 반영하기도 하지만 기능이 노래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발현된다고 할 수 있다. 세시 연행 민요는 세시풍속의 현장과 유리되지 않은 채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세시 소재 민요 가운데 〈달풀이〉와 〈청상요〉를 통해 세시풍속의 주기성을, 〈풍년가〉와 〈떡타령〉을 통해 세시풍속의 농업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시성이 노래에 구현됨으로써 노래의 주제의식이 보다 명확하게 형상됨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세시 연행 민요 가운데 〈지신밟기 소리〉,〈액막이 노래〉를 세시풍속의 종교성을, 〈안동 놋다리밟기 노래〉, 〈강강술래〉의 연행상황을 통해 세시풍속의 사회성을 고찰하였다. 그간 세시 연행 민요는 주로 세시의례요와 세시유희요로 구분되어 설명되어 왔는데, 본고는 세시풍속의 기능에 착안하여 의례성 보다 종교성을, 유희성보다 사회성을 세시 연행 민요에서 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그간 세시민요를 다룰 때 ‘세시’보다는 ‘민요’에 방점이 찍혔던 것에 대한 반성으로, 세시를 보다 적극적으로 민요 속에서 해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함으로써 세시민요의 성격이 세시풍속과 더불어 논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As folk songs related to Sesipungsok (歲時風俗, Seasonal Customs) are treated as subcategories of Seasonal Songs(歲時歌謠), their character and function in singing have not been considered in detail. Therefore, this paper divides Seasonal Songs(歲時歌謠) into the categories of folk songs based on Seasonal Customs and folk song performed as Seasonal Customs, and attempts clarify the form of Seasonal Customs and their meaning in each case. The purpose is not simply to combine Seasonal Customs with Seasonal Songs, but rather to interpret in better detail the meaning of Seasonal Customs in folk songs. This paper beings by examining Seasonal Songs, focusing on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Seasonal Customs. It is determined that periodicity and agriculture characterize Seasonal Customs, and religiosity and sociality are the functions of Seasonal Customs. Among these, the characteristic of Seasonal Customs was applied to interpret folk songs based on Seasonal Customs, and the function of Seasonal Customs was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folk song performed during Seasonal Customs. The periodicity of Seasonal Customs is examined through “Moon Puli” and “Chung Sang Yu” (靑孀謠, Young Window Song), while the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of Seasonal Customs were investigated through “Pungnyunga”(豊年歌, Bumper Year Song) and “Tteok Ta Lyeong”(Rice Cake Song), as folk songs based on Seasonal Customs. It is 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Seasonal Customs is embodied in each song, clarifying the theme. Next, the religious function of Seasonal Customs is examined through “Jisinbapkisori”(Stepping on the Floor Song) and “Aegmag-i soli”(Preventing Misfortune Song), while the social function of Seasonal Customs is analyzed through the folk songs “Andong nosdali balbgi” and “Ganggangsull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