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고경재 (고려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한국어학 제83권
발행연도
2019.5
수록면
97 - 128 (32page)
DOI
10.20405/kl.2019.05.83.9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roblem of the identity of discourse markers and the formation of discourse markers. As for the identity of discourse markers, I defined discourse markers as elements that perform textual functions and interactive functions on the pragmatic layer, and are elements that do not affect the semantic meaning to be conveyed by the speaker. I considered discourse markers and exclamation·conjunction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formation of the discourse markers,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pragmatic meaning is divided into two. In other words, grammatical morphemes may be formed even if they acquire pragmatic meanings, or discourse markers may be form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discourse markers work on the pragmatic layer without affecting the meaning of the sentence, this paper distinguishes the discourse markers from the other elements that experienced the grammaticalization, and I proposed to explain the phenomenon as pragmaticization.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담화표지의 정체
3. 담화표지의 형성 : 문법화 및 화용화와 관련하여
4.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701-000789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