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라스콜리니코프의 형상과 그의 사상
3. ‘죄’와 ‘벌’의 의미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가슴 속 인간’의 발명 : 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과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에 나타난 ‘양심’의 서사
슬라브학보
2019 .09
기억의 에토스: 『죄와 벌』의 주인공을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20 .06
『죄와 벌』에 나타난 어머니 이미지 - 풀헤리야, 리자베타, 소냐를 중심으로 -
슬라브硏究
2021 .12
도스토옙스키 소설『죄와 벌』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 연구
노어노문학
2016 .03
도스토옙스키의 장편 『죄와 벌』의 큰 대화와 슈제트 대화
노어노문학
2015 .09
인간 존재에 대한 물음으로서의 『죄와 벌』 : ‘죄’와 ‘벌’의 다층적 의미 분석
노어노문학
2016 .09
케사레 베까리아(Cesare Beccaria)의 사형폐지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신학지남
2015 .03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8 .02
What is the Final Goal of Punishment and Forgiveness?
윤리연구
2015 .05
근대소설과 『죄와 벌』 : 수용사 개관을 겸하여
서강인문논총
2016 .04
허무주의, 초인사상, 정교사상의 중첩구조: 『죄와 벌』에 나타난 ‘부활’의 비종결성
문학과 종교
2019 .01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죄와 벌』의 각색 연구 : 국내 공연 대본을 중심으로
동서비교문학저널
2016 .12
말뭉치언어학 관점에서 신문기사 범죄사건 명명 방식 분석
담화와인지
2016 .05
『尙書』 刑政의 이념과 현실 적용
한국한문학연구
2016 .06
나보코프의 도스토예프스키 읽기 - 『절망』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21 .12
도스토예프스키극의 한국 공연사 연구
노어노문학
2016 .09
전쟁과 사회: 드포의 몰 플랜더즈와 예이츠의 「내전기의 사색」
한국 예이츠 저널
2019 .01
후레(Hậu Lê) 왕조 관리 범죄와 형벌 - 國朝刑律 속 지방 관리 조목을 중심으로 -
베트남연구
2021 .01
『죄와 벌』에 나타난 시간의식: 라스콜리니코프, 스비드리가일로프, 소냐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