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탈식민주의 국가에 대한 환경폭력의 영향과 대안 모색을 위한 가능한 관점: “탈식민주의 생태비평”으로 자메이카 킨케이드의 『작은 섬』 읽기
새한영어영문학
2019 .05
포스트식민주의 실천신학과 오늘의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선교와 신학
2024 .06
Teaching English Literature in Postcolonial India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0 .10
탈식민 문학의 언어 혼종성과 그에 대한 번역전략 논의
번역학연구
2016 .06
탈식민주의 페미니즘과 시교육 연구— 김승희의 시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8 .01
탈식민적 미술 담론의 플랫폼으로서 비엔날레― 2018 광주비엔날레를 중심으로 ―
건지인문학
2024 .02
탈식민주의 관점에서의 번역가 고찰 - 청말의 개혁사상가 옌푸(嚴復)의 『천연론(天演論)』 번역 실천을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21 .06
A Postcolonial Interpretation of Matthew 28:18–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7 .07
탈식민주의적 전환과 독일문학
세계문학비교연구
2015 .01
The Many Faces of the Gentile Woman: a Postcolonial Feminist Hermeneutics of Mark 7:24-30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2020 .12
Postcolonial Ecocriticism and the African Response to Human Experience and the Environment
Localities
2017 .11
저지대의 생태학: 제국의 비가시적 느린 폭력의 재현
영미문화
2016 .01
『포』(Foe)와 포스트식민주의 페미니즘: 재현으로서의 침묵
영미어문학
2021 .09
포스트식민주의 언어 내 번역을 통해서 다시 읽는 살만 루시디 소설
영미어문학
2016 .12
탈식민으로서의 ‘되받아쓰기’와 식민성
비교문학
2018 .02
식민주의/포스트식민주의 연구의 현황과 과제
서양사연구
2016 .01
‘한국현대철학사’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이해의 가능성: 그 시론적 검토
철학연구
2023 .06
The Perplexity of the Weak : The Postcolonial Practice in The Sympathizer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9 .10
토마스 하디의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콜로니얼의 서벌턴 : 『더버빌가(家)의 테스』와 『비운의 주드』를 중심으로
신영어영문학
2020 .08
I'll be like Princess Pari, and I'll rescue you: Beccah's Development into a Postcolonial Female Writing Subject in Comfort Woman
영어권문화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