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서론
II. 『더버빌가(家)의 테스』: 여성 서벌턴, ‘테스’
III. 『비운의 주드』: 남성 서벌턴, ‘주드’
IV. 결론
인용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토마스 하디와 삶의 비전: 『무명의 주드』를 중심으로
신영어영문학
2024 .08
『테스』를 통해 본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영미문화
2018 .01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 관점에서 『더버빌가의 테스』 읽기
신영어영문학
2022 .11
『테스』를 통해 본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영미문화
2018 .01
성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본 『더버빌가의 테스』
신영어영문학
2023 .08
Wounded Animals, Tess and the Ethics of Representation in Thomas Hardy’s Tess of the D’Urbervilles
근대영미소설
2019 .01
라캉의 욕망 이론으로 하디의 『이름 없는 주드』 읽기—상징계에 도전을 중심으로
근대영미소설
2024 .08
탈식민주의 국가에 대한 환경폭력의 영향과 대안 모색을 위한 가능한 관점: “탈식민주의 생태비평”으로 자메이카 킨케이드의 『작은 섬』 읽기
새한영어영문학
2019 .05
역기능 가정의 비극: 『더버빌가의 테스』
영미어문학
2019 .01
『테스』와 『시스터 캐리』에 나타난 두 여주인공들의 성에 대한 의식
영어영문학
2017 .05
『무명의 주드』에 나타난 시간의 공간화와 삶의 기술
새한영어영문학
2018 .05
여성-되기와 유목적 공간 : 『테스』
신영어영문학
2017 .08
『테스』에 나타난 침묵과 주이상스
현대영어영문학
2015 .01
At the Crossroads of Literature and Philosophy: Hardy’s Reception of Kant
영어영문학
2015 .01
Teaching English Literature in Postcolonial India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0 .10
The study of Postcolonial Narratives in the Postcolonial Period: focusing on rhetoric approach with various narrative techniques
한국사상과 문화
2017 .01
포스트식민주의 실천신학과 오늘의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선교와 신학
2024 .06
『불운한 쥬드』에 나타난 이상적 신의 부재와 비극에 작용하는 희극의 효과
문학과 종교
2019 .01
탈식민 문학의 언어 혼종성과 그에 대한 번역전략 논의
번역학연구
2016 .06
서벌턴 여성의 정치적 주체성 형성에 대해서 : 탈식민 시대 인도에서 젠더화된 국민국가 건설과 서벌턴의 로컬리티
인문과학연구
2017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