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대법원 1994. 8. 23. 선고 93누21514 판결
운수사업을 영위하는 사업체에 있어서 배차행위는 원래 사용자가 행하는 통상적인 업무명령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에 관하여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에 특별한 규정이 있거나 노사합의 또는 확립된 노사관행이 있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는 근로자인 운전사는 원칙적으로 사용자가 배정한 차량을 운행할 의무가 있는바, 회사가 좌석버스를 운행할 수 있는 승무대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2. 5. 12. 선고 91다34523 판결
가. 쟁의행위가 정당하기 위하여는 그 목적이 노사의 자치적 교섭을 조성하기 위하여 하는 것이어야 하고 그 방법에 있어서 폭력의 행사는 법질서의 기본원칙에 반하므로 이는 어떠한 경우에도 허용되지 않는다 할 것인데, 이 중 노사의 자치적 교섭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에 적합하다고 하기 위하여는 노동쟁의조정법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9. 1. 30. 선고 78다304 판결
취업규칙등에 제재에 관한 절차가 정하여져 있으면 반증이 없는 한 그 절차는 정의가 요구하는 것으로 유효요건이라 할 것이나 회사의 징계에 관한 규정에 징계혐의 사실의 고지, 진변(陳辯)의 기회부여 등의 절차가 규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절차를 밟지 아니하고 한 징계처분도 정당하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2. 26. 선고 99도5380 판결
[1] 정리해고나 사업조직의 통폐합 등 기업의 구조조정의 실시 여부는 경영주체에 의한 고도의 경영상 결단에 속하는 사항으로서 이는 원칙적으로 단체교섭의 대상이 될 수 없고, 그것이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나 합리적인 이유 없이 불순한 의도로 추진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노동조합이 실질적으로 그 실시 자체를 반대하기 위하여 쟁의행위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권리분쟁 사항과 단체교섭 사항에 대한 재검토
노동법논총
2017 .08
공무원 단체교섭의 법적 쟁점과 과제 : 최근 재개된 2008 정부공동교섭의 사례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8 .09
경영권의 단체교섭대상여부 : 기본권충돌이론의 적용을 통한 해결
노동법학
2013 .03
공무원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및 단체협약에 관한 연구
노동법연구
2007 .09
교원노조의 단체교섭 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사용자측 교섭당사자를 중심으로)
노동법포럼
2010 .04
교섭창구 단일화 체계 하에서 소수노조가 갖는 단체교섭권의 범위
노동법포럼
2016 .07
한국의 단체교섭 구조
한국노사관계학회 정책세미나
2008 .06
간접고용과 교섭창구단일화 절차 - 사업 또는 사업장 교섭단위의 적용을 중심으로 -
노동법학
2020 .03
근로자 단체교섭의 대상 : 기업의 이해관계자로서 보장되어야 할 권리의 보호
법과기업연구
2014 .12
노동법상 사용자 적격성에 대한 검토 - 학교부문을 중심으로 -
원광법학
2012 .01
구조조정과 고용안정협약의 효력
노동법학
2013 .06
공무원 단체교섭의 특징과 쟁점 : 복수노조하의 단체교섭을 중심으로
노동법연구
2008 .12
단체협약위반에 대한 권리구제
노동법포럼
2013 .10
공무원 노사관계 발전방안 소고(小考) : 2006~2007년 공무원 단체교섭을 중심으로
노동법연구
2008 .12
보건의료조직의 단체교섭 결렬요인에 대한 노사간 인식의 차이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지
1999 .01
복수노조·교섭창구 단일화 개정 내용의 평가
노동법포럼
2010 .10
‘자율교섭’과 ‘교섭단위분리’에 관한 법적 쟁점
노동법학
2012 .03
기업별 복수노조와 교섭창구의 단일화
노동법학
2005 .12
복수노동조합하의 단체교섭거부와 부당노동행위
노동법논총
2007 .06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쟁점과 문제점
노동법학
201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