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緒論
Ⅱ. “微X”族新詞的本體研究
Ⅲ. 對外漢語教學中的“微X”族新詞教學
Ⅳ. 結論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 중국어 금지성 부사 ‘省’ 및 ‘省可(裏)’의 구문화
중국어문논총
2016 .10
개념적 혼성 이론을 통한 ‘微’형 신조어 의미 분석 - ‘微德’, ‘微耳’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9 .08
중국 ‘微電影(웨이띠엔잉)’의 서사적 개선 연구 : 한국 ‘로맨틱 코미디’의 서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5 .12
现代汉语中“稍微+数量”结构的再认识
중국언어연구
2021 .08
지속가능한 중국어 교육을 위한 마이크로러닝 교수설계와 제작
중국언어연구
2021 .01
『滴天髓闡微』에 함축된 ‘精氣神’ 고찰 - 任鐵樵注를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12
儒家哲學의 특징과 孟子의 體用論理 활용
동양철학연구
2023 .05
鄭玄 『毛詩鄭箋』의 금·고문 종합과 그 정치적 의미
율곡학연구
2024 .03
순자의 인심도심론
동양철학
2024 .07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설계 및 개발- 서한 번역연습 코스를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2020 .01
『滴天髓闡微』 原注와 任鐵樵注의 비교 분석 -「通神論」의 <天道>에서 <配合>을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0 .09
김기찬의 ‘골목 안 풍경’ 사진을 통해 본 골목 공동체 미시사(微視史)의 가능성과 의미
역사와경계
2015 .12
清代莊存與《毛詩說》的治《詩》≫方法和主旨詮釋
동아인문학
2017 .12
소설의 언어를 데이터로 읽는다는 것 -‘한국현대문학데이터분석연구’ 강의 사례를 기반으로-
인문과학
2022 .02
미시사로 읽는 조선 사인의 의약생활
인문논총
2015 .01
국내외 마이크로크리덴셜 교육과정 운영 현황 연구
동아인문학
2024 .09
施叔靑 소설에 나타난 타이베이의 이미지 소비문화 : 《微醺彩妝》을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9 .04
동학의 노자수용— 미학과 정치(Ⅱ)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7 .01
게이미피케이션과 마이크로러닝을 활용한 K-MOOC수업이 몰입과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과교육
2023 .05
渡也詩與迷宮
동아인문학
2015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