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며Ⅱ. 일본 개정법의 주요 변화Ⅲ. 개정법에 대한 오해의 해소Ⅳ. 개정법의 특징Ⅴ. 우리법의 나아갈 방향Ⅵ. 맺으며
서울중앙지방법원 2007. 2. 8. 선고 2006가합33062,53332 판결
[1] 헌법 제10조, 제17조의 규정은 개인의 사생활 활동이 타인으로부터 침해되거나 사생활이 함부로 공개되지 아니할 소극적인 권리는 물론, 오늘날 고도로 정보화된 현대사회에서 자신에 대한 정보를 자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적극적인 권리까지도 보장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으므로 정보통신서비스이용자들은 자
자세히 보기대전지방법원 논산지원 2013. 8. 9. 선고 2013고단17 판결
경찰공무원인 피고인 甲이 피해자 乙의 신고에 따라 피고인 丙 등의 도박 현장을 단속한 다음 훈방 조치하였는데, 그 후 피고인 丙으로부터 신고자의 전화번호를 알려 달라는 부탁을 받고 `乙의 휴대전화번호 뒷자리 4자’를 알려 주었다고 하여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휴대전화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휴대전화번호 뒷자리 4자에 전화번호 사용자의 정체성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8. 17. 선고 2014다235080 판결
[1]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을 규정한 헌법 제10조 제1문에서 도출되는 일반적 인격권 및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에 의하여 보장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자신에 관한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또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를 정보주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이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대상이 되는 개인정보는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의 개인정보보호 법제에 관한 연구 - 2020년 개정법을 중심으로 -
국제법무
2021 .01
일본 개정개인정보보호법의 주요내용과 그 시사점
공법학연구
2017 .11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법이론실무연구
2018 .02
개정 개인정보 보호법과 일본법의 비교 연구 - 데이터의 국내외 이전을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2020 .05
개인정보보호 법제에 관한 국제적 동향 검토
연세법학
2023 .02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기업법연구
2017 .06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과정책
2021 .01
빅데이터 시대의 온라인 마케팅과 개인정보 보호
법과정책
2015 .01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개정 내용과 그에 대한 평가 - 개인정보 처리의 정당화 사유를 중심으로 -
법학논집
2020 .01
데이터 3법 개정과 보험업에 관한 법적 연구
상사판례연구
2020 .01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정보주체의 권리에 대한 고찰 - EU GDPR 법제도를 중심으로 -
가천법학
2024 .06
중국과 EU의 개인정보보호 규정 비교와 시사점
중국지역연구
2021 .11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체계상 감독기구 법제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헌법연구
2017 .08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국제적 동향에 관한 소고 - 일본의 2020년 개정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2021 .08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적 문제와 개인정보보호법제 개선방향
공법연구
2016 .12
중국의 사법(私法)상 개인정보권에 관한 소고— 「민법총칙」의 제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18 .01
개인정보 보호 원칙 구현을 위한 입법절차 개선방안
성균관법학
2024 .12
사이버 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정책 변화와 정책방안 연구
한국테러학회보
2016 .01
디지털 고도화와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
경제규제와 법
2024 .05
Research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Chinese ‘Civil Code’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동아법학
202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