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식민지 경영’을 위한 일본의 아시아 연구
3. ‘식민지 시혜론’의 주창자가 된 귀환 연구자들
4. 패전 후 일본학계의 고적조사사업에 대한 평가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柳宗悦の朝鮮理解の特質 ―朝鮮関連初期の著作を手がかりに―
일본문화학보
2020 .11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에 나타난 식민 권력의 이미지 구축 시도 -미술관 전시를 중심으로
탐라문화
2020 .01
일제의 통계 조사와 조선인의 비판적 해석
사림
2015 .01
『조선(朝鮮)の특산(特産)』으로 보는 일제강점기 식품 특산물 현황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9 .01
在朝鮮日本人浅川伯教 · 巧兄弟と柳宗悦の朝鮮伝統文化理解の特質 : 初期の活動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18 .11
조선전기 일본인의 向化와 정착
동양학
2017 .07
1910~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개최된 공진회와 박람회의 성격
전북사학
2018 .01
Moving Beyond Politics: Western Scholarship on Joseon
Korea Journal
2021 .09
기후, 날씨와도 싸워야 했던 일본제국주의, 그리고 식민지민 - 길었던 한 해, 1939년 조선 대가뭄의 양상과 그 여파 -
역사와현실
2020 .12
1930년대 중후반 식민지 조선 금융기구 개편론의 전개와 함의
한국사연구
2020 .09
중국소설 《西遊記》 번역본의 조선후기 유통에 관한 연구 : 영남대 소장 번역필사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2017 .01
1930년대 전반 조선 미곡정책과 재조선일본인의 식민자본 ― ‘조선미곡창고주식회사’를 중심으로 ―
사림
2015 .01
1920년대 문화사학자의 민족 자각론과 한국상고사 인식
역사와 담론
2023 .04
일선동조론의 계보학적 검토를 위한 시론 - 일본사의 탄생과 타자로서의 조선 -
한일관계사연구
2019 .08
일본제국 전쟁에 호명받은 조선 식민지인
日本語敎育
2024 .09
한일회담 문화재 반환 교섭 관련 인물 연구 : 일본측 문화재 반환 교섭 담당자들과 일본의 조선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7 .12
『朝鮮賦』의 한중일 간행과 유통
장서각
2015 .04
『울산부 호적대장』을 통해 본 조선후기 降倭의 존재와 정착
한일관계사연구
2016 .08
조선총독부의 『朝鮮古蹟圖譜』 편찬과 그 의미
한일관계사연구
2023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