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영정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구화진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저널정보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9 정책연구-10] 1인가구 주거공동체 및 사회적 관계 활성화 방안
발행연도
2019.11
수록면
1 - 190 (19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rapid growth of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in South Korea has led such households to account for 30 percent of all households in Seoul today. The majority of one-person households, however, are struggling amid a serious housing crisis. Although such individuals wish to continue living alone, they also desire to be part of a community. Having recently become popular, community housing is expected to cater to one-person households’ need for both intimacy and stable housing. With the rise of one-person households in Korea, more and more people are also attempting to create diverse forms of alternative communities, going beyond traditional family forms based on marriage and blood relations. Based upon an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members of one-person households residing in community housing, this study identifies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such individuals, and explores what policy suppor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hould provide to realize the communities of friendship and care they desire. This study proposes increasing the tenants of community housing and raising public awareness of such arrangements, energizing community programs, and fostering environments conducive to community housing as measures to realize a new housing policy that reflects the diversity of family and is capable of achieving relationship-oriented housing welfare for citizens.

목차

[표지]
[발간사]
[Contents]
표목차
그림목차
[연구요약]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4. 주요 연구 결과
5. 정책개선방안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3. 연구 내용
4. 연구 방법
[Ⅱ. 1인가구와 공동체주거: 개념과 현황]
1. 1인가구와 주거
2. 공동체주거의 개념과 가치
3. 서울시 공동체주택 정책 현황
4. 국외 공동체주거 사례
5. 소결
[Ⅲ. 1인가구의 공동체주거 생활실태]
1. 1인가구의 공동체주거 생활경험 설문조사 결과
2. 공동체주거 생활실태 FGI 결과
3. 소결
[Ⅳ. 결론: 1인가구를 위한 공동체주거 정책개선 방안]
1. 정책 방향
2. 세부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37-000683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