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문학 데이터 편찬 교육의 실제 -고려대 한문학과의 <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漢文敎育論集
2024 .06
한민족문학과 한국어문학의 개념 그리고 민족의 관계양상
춘원연구학보
2021 .12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문학 연구 현황 분석 및 향후 방향 설정
문학교육학
2018 .01
紫霞 申緯의 「東人論詩絶句三十五首」 다시 읽기
한국한문학연구
2021 .09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현황과 전망
한국문예창작
2022 .04
한국 한문학 연구에 대한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7 .01
남북의 국문학(조선문학) 지형 구축 과정
통일인문학
2023 .06
『訓蒙字會』의 訓에 실린 한자음 고찰
대동문화연구
2019 .01
17-18세기 고전 산문 작품 속의 국어 한자음의 모습
언어와 정보사회
2015 .11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한21세기 한문학 연구동향 분석-『한국한문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2 .08
분단체제 극복과제와 민족주의
고조선단군학
2019 .12
북한문학의 미적 보편성과 정치적 특수성 - 비체제적 양식과 민중적 해석을 중심으로 -
반교어문연구
2015 .01
韓國漢字音에 나타나는 i母音添加現象에 대하여 : 日本漢字音 · 越南漢字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5 .11
위기에서의 선택 —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의 정책 결정 논평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2 .03
대학교 전공 漢詩 강의 현황 및 개선을 위한 提言
漢文敎育論集
2019 .01
60년대 세계문학론의 코드화 과정 : 60년대 후반 비평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16 .01
1960년대 문학과 ‘북한’이라는 알레고리 - 한국문학은 북한을 어떻게 재현해왔는가
동방학지
2020 .01
재미코리안 이민문학의 형성과정과 주제의식 고찰
겨레어문학
2018 .01
한국전쟁기 남북한 문학담론 기원 연구
비평문학
2019 .09
한국 민족주의 연구의 쟁점과 과제
민족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