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머리말
II. 眞番의 형성과 위치
III. 眞番郡의 변천과 주변 정치체
IV. 원삼국시기 예성강~한강 유역의 정세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王溫 墓誌銘」 교감과 역주
목간과문자
2022 .12
위만조선의 멸망과 1세기 이전 낙랑 지역에 대한 여러 인식
한국사학보
2018 .02
『我邦疆域考』 역주・비평(3) -玄菟考-
한국사학보
2020 .08
낙랑군 호구부 진위(眞僞) 고찰 Ⅰ
고조선단군학
2016 .12
德興里壁畵古墳의 仙人·玉女圖 硏究
동아시아고대학
2017 .01
오늘날의 낙랑군 연구
역사비평
2016 .02
帶方郡의 설치 의도와 長期 存續의 배경
고조선단군학
2022 .08
쓰다 소키치는 고대 일본의 한반도 정벌을 통해 어떠한 歷史像을 그려냈는가
사학연구
2022 .03
湖西地域 原三國時代 墳墓遺物의 變遷과 周邊地域과의 關係
호서고고학
2016 .01
삼별초의 항파두리 토성 입거와 전략적 활용
역사민속학
2015 .03
19세기 말엽 도초도를 둘러싼 궁차·향리·두민의 길항관계
한국학연구
2021 .09
일인칭 시점 딱지본 대중소설 연구
한국문학과 예술
2020 .09
A New Approach to the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樂浪) Commandery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7 .08
북한강 상류역 원삼국시대 취락과 지역 정치체
고고학
2018 .01
4세기 후반 백제의 대고구려 전쟁과 영토의식 - 치양성(雉壤城)·패수(浿水)에 대한 새로운 비정을 바탕으로 -
한국사연구
2021 .06
3세기 후반 신미제국의 서진 교섭과 장화(張華)
동북아역사논총
2022 .09
메이지 시대 ‘전기소설’ 개념의 변천
일본문화연구
2021 .04
백제의 지방통치제도에 미친 중국왕조의 영향 : 漢代~南北朝時代 지방통치기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역사학보
2016 .12
666년 신라의 고구려인 ‘府’ 安置와 그 의미
신라사학보
2024 .12
「樂浪郡 戶口簿」에서 나타난 樂浪郡의 구조와 衛滿朝鮮의 藩屛
고조선단군학
2022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