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통화 만발발자 유적 철기의 출토 양상
Ⅲ. 만발발자 유적 철기문화의 시·공간적 검토
Ⅳ. 천산산맥 이동지역 후기 고조선~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전개 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만발발자 유적으로 본 후기 고조선의 교역 네트워크와 고구려의 발흥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③:通化 萬發撥子 유적의 무덤
동양학
2020 .01
통화 만발발자 유적을 통해 본 고구려 토기의 기원과 형성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원삼국~백제 한성기 북한강유역 철기문화의 재검토
고고학
2017 .01
고대 한반도 주조철기 열처리 기술에 대한 고찰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삼국시대 소형철기와 축소모형철기를 통해 본 교류
고고광장
2018 .01
고구려 문화 기원의 寶庫 -「通化 萬發撥子遺址 考古發掘 報告」-
야외고고학
2020 .01
호남지역 철기문화 중심세력의 전환과 그 의미
전북사학
2020 .01
위진남북조시기 중국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 고조선 · 고구려 · 부여계 이주민 집단 연구
한국사학보
2018 .08
호남지역 철기문화의 형성과 변천
도서문화
2017 .06
2~4세기 사로권역 철기의 부장체계 조직화와 위세경제 소비 구조
한국고고학보
2022 .12
통화 만발발자 유적의 축자해석(逐字解釋), 그 새로운 시도 - 『고조선과 고구려의 만남』(박선미 외 지음, 동북아역사재단, 2021)의 서평
동북아역사논총
2022 .09
고대 나주지역 철기문화의 등장과 성장배경
역사학연구
2022 .11
낙동강 중~하류 유역 3~5세기 철기 屍臺 분묘의 분포와 지역적 상호작용
한국상고사학보
2017 .01
中國東北地域 鐵器의 流入과 發展
호남고고학보
2017 .01
통화 만발발자 유적 집장묘의 계통과 성격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고구려 철촉의 편년 연구
마한백제문화
2017 .01
한반도 동남부지역 철기생산기술의 등장과 발전배경 -기원전 2세기~기원 1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2019 .01
고대 철기생산기술의 발전과 남해안 도서지역 철기생산유적
도서문화
2020 .12
영암 자라봉고분 출토 슬래그를 통해 본 5~6세기 영산강유역 철기생산과 유통
호남고고학보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