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沈正勳 (한국거래소)
저널정보
한국기업법학회 기업법연구 企業法硏究 第35卷 第2號 (通卷 第85號)
발행연도
2021.6
수록면
205 - 241 (37page)
DOI
10.24886/BLR.2021.6.35.2.205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공매도는 소유하지 아니한 증권을 매도하는 투자전략으로서, 17세기 시작된 증권시장의 역사와 함께 존재하여 왔다. 자산 가격의 하락이 예상될 때 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으며, 시장의 가격효율성 및 유동성 제고 등 순기능과 결제불이행 우려 등 역기능이 동시에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9월 대차거래 시행을 앞두고 공매도 거래에 대한 본격적인 규제가 시작되었다. 이후 2009년 2월 자본시장법 시행시 공적규제로 전환되었고 공매도 규제를 지속적으로 강화하였다. 해외 주요 선진시장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무차입공매도를 금지하고, 공매도잔고 공시제도를 도입하는 등 공매도 규제체계를 정비하였다.
하지만, 해외 주요 선진시장의 공매도 규제는 한시적․간접적인 반면, 우리나라의 공매도 규제는 상시적․직접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즉, 우리나라는 공매도 주문의 수탁방법, 호가가격 등에 관한 다양한 작위의무 및 금지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며, 시장불안시 공매도 금지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또한, 공매도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공표하며, 최근 법 개정에 따라 공매도 규제 위반자에 대한 형사처벌도 가능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언론 등을 통해 공매도의 역기능 부각되며, 공매도에 대한 규제 강화 내지 폐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공매도는 투자전략 중 하나일 뿐이며 그 자체로 불공정한 수단이 아니다. 공매도를 악용한 불공정거래 등은 엄벌하여야 하지만, 공매도 거래에 대한 규제는 원칙적으로 공매도의 순기능은 살리되 역기능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 반드시 필요한 규제는 하여야겠지만 지나친 규제는 완화하여야 하고, 불명확한 규제근거 등도 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제는 공매도의 순기능을 생각하여야 할 시간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공매도의 의의 및 거래구조
Ⅲ. 공매도 규제현황
Ⅳ. 공매도에 대한 바람직한 규제방향
Ⅴ.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참고문헌 (37)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8)

  • 헌법재판소 1999. 9. 16. 선고 97헌바73,98헌바62,98헌바60(병합) 전원재판부

    가. 명확성의 원칙은 규율대상이 극히 다양하고 수시로 변화하는 것인 경우에는 그 요건이 완화되어야 하고, 특정 조항의 명확성 여부는 그 문언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관련 조항을 유기적 체계적으로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하는바, 집합건물재건축의 요건을 건축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되어 건물이 훼손되거나 일부 멸실된 경우로 표현한 것은 재건축 대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4. 8. 26. 선고 93다20191 판결

    가. 보유주식 일정량을 담보로 제공하기로 한 담보제공약정은 특정한 "주권"에 대한 담보약정이 아니라 기명의 "주식"에 관한 담보약정이고 다만 그 담보약정의 이행으로서 약정한 기명주식을 표창하는 주권을 인도할 의무가 있는 것인데, 주식은 동가성이 있고 상법 등의 규정에 따른 소각, 변환, 병합 등 변화가능성이 있으며 담보약정에 이르게 된 경위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7. 3. 23. 선고 2015다248342 전원합의체 판결

    [다수의견] (가) 상법이 주주명부제도를 둔 이유는, 주식의 발행 및 양도에 따라 주주의 구성이 계속 변화하는 단체법적 법률관계의 특성상 회사가 다수의 주주와 관련된 법률관계를 외부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형식적이고도 획일적인 기준에 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이와 관련된 사무처리의 효율성과 법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는 회사가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7. 11. 15. 선고 2007다1753 판결

    [1] 주식회사 한국증권선물거래소는 한국증권선물거래소법 제4조의 규정에 따라 설립된 주식회사로서, 그 유가증권시장에 유가증권의 상장을 희망하는 발행회사와 주식회사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사이에 체결되는 상장계약은 사법상의 계약이고, 상장회사의 신청이 없는 상태에서의 주식회사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의한 상장폐지 내지 상장폐지결정은

    자세히 보기
  • 서울남부지방법원 2019. 4. 10. 선고 2018고단3255 판결

    갑 주식회사의 직원으로 우리사주 조합원인 피고인들이, 갑 회사에서 우리사주에 대한 배당금을 입금하는 과정에서 담당 직원의 과실로 우리사주 1주당 1,000원의 현금 배당 대신 1주당 1,000주의 주식을 입고하는 내용의 전산처리가 이루어져 피고인들의 계좌에 갑 회사 주식이 전산상 입력되는 배당사고가 발생하자, 마치 자신들이 정당하게 소유하여 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0. 4. 29. 선고 2007두11092 판결

    구 소득세법 시행령(2000. 12. 29. 대통령령 제170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7조 제4항 제2호의 입법 취지 및 문언의 내용, 위 규정에서 정한 `소유’의 개념에 대하여 구 소득세법(2000. 12. 29. 법률 제6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4조 제4호 등에서 별도의 정의 규

    자세히 보기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9. 10. 11. 선고 2018가합531415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70. 10. 23. 선고 70다2038 판결

    부동산의 이중매매가 그 매수인이 매도인의 배임행위에 적극 가담함으로써 이루어진 때는 반사회적 법률행위로서 무효다.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