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Introduction
2. Establishment of a Health Prevention System and Cholera Prevention in 1963
3. Cholera Epidemic of 1969–70 and Politicization of the Anti-Cholera Administration
4. Conclusion
REFERENCE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세기의 유행성 콜레라와 미국사회 개혁운동
의사학
2015 .12
제국의 실험실: 일제강점기 한반도의 콜레라 백신 접종과 1926년 국제위생회의
한국과학사학회지
2022 .04
1870-80년대 일본의 콜레라 유행과 근대적 방역체계의 형성
사림
2018 .01
경계, 침입, 그리고 배제 : 1946년 콜레라 유행과 조선인 밀항자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1 .10
1946년 서울 지역 콜레라 발병세와 일국적 · 지역적 중심부/주변부/변경성(性)
사학연구
2020 .12
조선의 포스트 콜레라와 〈변강쇠가〉
어문학
2021 .12
근세 일본의 콜레라 유행 - 피해 상황과 막부의 서벌턴 계층 구제책을 중심으로 -
일본문화학보
2024 .08
1946년 경기 지역의 콜레라 사태와 종전/해방 직후 국제·일국·지역 정치
동방학지
2020 .01
1886년 조선 내 콜레라 유행과 개항장 검역
의사학
2020 .04
1946년 충청도 지역 콜레라 발병·확산과 근대 철도 교통 체계
역사와 담론
2022 .07
식민지 조선에서의 콜레라 유행과 일제의 방역지(防疫誌) 제작
역사학연구
2023 .02
일본점령기 상하이의 콜레라 방역과 도시공간 - 백신 강제 접종과 주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도시연구
2021 .03
조선후기 문학의 역병(疫病) 재난과 대응 양상
열상고전연구
2022 .06
‘마마’와 ‘호열자’로 보는 개항기 보건의료 - 부산지역의 두창 및 콜레라 방역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2019 .01
영웅 없는 『콜레라 시대』
한국과학사학회지
2020 .01
19세기 후반 전염병과 국제공조의 탄생
역사비평
2020 .05
미군정이 만들려고 했던 한국의 공화 체제
역사비평
2019 .05
Navigating Disease : Cholera and British Naval Operations in the Mediterranean, Black Sea and East Asia, 1848-1877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1 .10
1946년 전라북도 지역 콜레라 만연과 정치・경제학
전북사학
2021 .01
『토지』의 재난서사 - 콜레라(호열자)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021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