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일본 동인회의 방역 활동과 목표
Ⅲ. 중일전쟁과 콜레라의 재유행
Ⅳ. 이동 제한과 백신접종
Ⅴ. 보편접종을 둘러싼 논쟁과 반감
Ⅵ.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우두 접종의 보편화 과정과 그 영향: 1938-1939년 상하이 두창 대유행을 중심으로
의료사회사연구
2023 .04
백신 부작용과 국가책임: 한국 예방접종피해보상제도의 형성
의료사회사연구
2023 .04
백신 정책에 관한 헌법적 윤리적 고찰: 면역여권부터 방역패스까지
인간·환경·미래
2022 .04
코로나19 팬데믹이 인문학과 예술에 남긴 과제는?: 문제의 도출과 해결의 모색에 대한 시론
인문과 예술
2021 .12
논쟁으로부터 배우기 - 백신 반대론자와 초기 제너백신의 효용성과 안전성 논쟁 -
서양사론
2021 .01
경계, 침입, 그리고 배제 : 1946년 콜레라 유행과 조선인 밀항자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1 .10
청말 민국 초 전염병과 의약시장 : 콜레라 치료제의 생산과 광고를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22 .12
제국의 실험실: 일제강점기 한반도의 콜레라 백신 접종과 1926년 국제위생회의
한국과학사학회지
2022 .04
19세기에서 20세기 중반 한국의 우두법 및 백신접종 연구에 있어 지구사적 관점(global perspective)의 유용성
동국사학
2018 .01
근대 중국 우두지식의 보편화를 향한 노력: 민중 계몽에서 학생 교육까지
의료사회사연구
2022 .04
1946년 서울 지역 콜레라 발병세와 일국적 · 지역적 중심부/주변부/변경성(性)
사학연구
2020 .12
19세기 영국 백신반대 부모의 시민 됨과 “매독 아이”
인문논총
2022 .11
19세기의 유행성 콜레라와 미국사회 개혁운동
의사학
2015 .12
면역 여권, 코로나 시대 양날의 검 -공법적 검토와 윤리적 함의-
철학∙사상∙문화
2021 .01
Concealment and Disclosure: The Cholera Crisis of 1969–70 in Korea
의사학
2021 .08
1946년 전라북도 지역 콜레라 만연과 정치・경제학
전북사학
2021 .01
조선종두령(1923)의 시행과 식민지 조선의 두창 통제: 종두시술생 정책을 중심으로
의료사회사연구
2023 .04
근대 상하이 공공조계 우두 접종과 거주민의 반응: 지역적·문화적 비교를 중심으로
의사학
2020 .04
民國 後期 北京에서 두창의 역습과 근대적 공간 통제: 지역 거점 방역에서 방문 접종으로
역사학보
2021 .12
1946년 전남 제주 지역의 콜레라 발병세와 지역적 질병 문화권
역사학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