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Ⅰ. 서론
Ⅱ. 면역여권의 등장과 윤리적 논쟁
Ⅲ. 방역패스의 기본권 제한 문제와 사법적 판단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백신 부작용과 국가책임: 한국 예방접종피해보상제도의 형성
의료사회사연구
2023 .04
일본점령기 상하이의 콜레라 방역과 도시공간 - 백신 강제 접종과 주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도시연구
2021 .03
코로나19 팬데믹이 인문학과 예술에 남긴 과제는?: 문제의 도출과 해결의 모색에 대한 시론
인문과 예술
2021 .12
면역 여권, 코로나 시대 양날의 검 -공법적 검토와 윤리적 함의-
철학∙사상∙문화
2021 .01
논쟁으로부터 배우기 - 백신 반대론자와 초기 제너백신의 효용성과 안전성 논쟁 -
서양사론
2021 .01
19세기에서 20세기 중반 한국의 우두법 및 백신접종 연구에 있어 지구사적 관점(global perspective)의 유용성
동국사학
2018 .01
제임스 스미스(James Smith, 1771-1841)의 두창 박멸의 꿈과 국가백신기구
의사학
2022 .04
근대 중국 우두(牛痘)의 역사: 백신 기술과 도구 그리고 현지화
의사학
2023 .04
19세기 영국 백신반대 부모의 시민 됨과 “매독 아이”
인문논총
2022 .11
우두 접종의 보편화 과정과 그 영향: 1938-1939년 상하이 두창 대유행을 중심으로
의료사회사연구
2023 .04
식민지 조선에서의 콜레라 유행과 일제의 방역지(防疫誌) 제작
역사학연구
2023 .02
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동아시아의 감염병 유행과 방역대책 -‘봉쇄형’ 방역 인프라의 구축과 관련하여-
동서인문
2020 .10
1910-1911년 奉天의 페스트 유행과 민중의 대응: 방역의식의 전환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2021 .11
スマートパワーとしての日本のワクチン外交
일어일문학연구
2022 .02
전염병 시대 공중보건을 위한 과학과 법의 의미
비교한국학
2022 .08
1980년대 한국의 B형간염에 대한 인식의 형성 과정
역사와실학
2019 .11
간염왕국에서 문제 해결의 열쇠를 찾다: 1960-70년대 김정룡의 B형간염 백신 연구 활동
의사학
2020 .08
중국 ‘방역’과 전 지구적 위기
황해문화
2021 .06
1910년대 식민지 가축방역체계 연구
사학연구
2021 .06
[히스토리아-2회] 백신의 시대를 열다
월간에세이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