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하곡 정제두 예론의 양명학적 성격에 관한 연구
유학연구
2023 .02
<窮達以時> 考釋 ― 君子의 ‘時’에 대한 인식과 태도
중국어문논총
2020 .01
남북조~수당시대의 기자·기자조선 인식
한국고대사연구
2025 .03
남명 조식의 신명사도⋅명과 심법
동양고전연구
2022 .12
?繫辭上? 제4장과 『주역』의 학문체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2021 .01
귀신 외 1편
문학들
2022 .11
이 빠진 귀신이면 족하지
수필미학
2024 .09
謝罪場面における言いさし表現 - 責任所在に着目して -
일본문화학보
2021 .05
공자의 ‘道’에 관한 고찰
양명학
2021 .12
자기(自己)와의 만남
월간에세이
2020 .06
朱子의 ‘克己復禮’장 해석과 程門 비판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24 .02
유교 성리학에서 귀신을 理로 볼 수 있는가
퇴계학논집
2024 .06
《醒世姻?傳》夢意象的思想內涵及其醒世意義
인문과학연구
2021 .11
墨子 宗敎 思想 考察 -繼商과 관련하여
민족문화연구
2016 .01
왕부지의 노자비판과 그 의의에 대한 고찰
동양철학
2016 .12
『어우야담』 소재 귀신담의 서사 전개 양상과 의미
韓國古典硏究
2017 .01
한국어 재귀사 ‘자기, 자신’과 중국어 재귀사 ‘自己’의 대조 연구
반교어문연구
2015 .01
『성학십도(聖學十圖)』에 나타난 인성덕목의 교육적 의의
한국학연구
2018 .12
安昌後 시조의 도학적 지향과 시가사적 의의
국문학연구
2015 .05
동아시아에서 본 한국 목간과 제사 유적 -경산 소월리유적을 중심으로-
목간과문자
202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