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다산 정약용의 강진 유배와 문학적 형상화 -소설 목민심서, 다산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019 .01
율곡의 사상과 인성교육에 관한 반성적 고찰 -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와 학계의 선행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7 .01
교과서에 기술된 율곡 사상의 변천에 대한 고찰 - 근대계몽기 ‘수신과’에서 현대 ‘도덕과’에 이르기까지
율곡학연구
2020 .01
백운동 별서정원과 다산
다산과 현대
2015 .12
다산 정약용의 제화시 연구
동양학
2021 .01
조선학에 비친 다산
다산과 현대
2017 .12
Zhu Xi’s Perspective on Origin of Evil and Jeong Yakyong’s Criticism of the Theory
동양문화연구
2019 .01
시(詩)의 공적 효용성 : 다산(茶山) 시(詩) 와 시관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6 .09
적소謫所의 밤 외 1편 : 다산, 주모를 만나다
시조시학
2017 .03
『중용』 치중화致中和의 공효 실현 과정에 대한 율곡과 다산 해석의 현대적 함의
국학연구
2020 .07
다산 정약용의 역사인식과 토지론
다산과 현대
2019 .12
다산의 전원관 연구 동향
국어문학
2015 .08
조선후기 欽恤의 두 가지 모색 -윤기와 정약용의 贖錢論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2018 .01
草衣가 茶山으로부터 받은 교육과 영향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8 .03
다산 정약용의 삶에서 행복담론과 윤리교육적 함의
윤리연구
2020 .01
중앙과 지방의 학술 소통 : 다산학과 다산학단
다산과 현대
2015 .12
다산은 과연 퇴계를 수용하였는가?
퇴계학논집
2020 .01
정약용의 윤리교육론
한국철학논집
2018 .01
성리학과 서학의 공존: 다산 정약용의 사칠설
유학연구
2021 .01
‘茶山’의 초상과 남ㆍ북한의 ‘實學’ 전유 : 1950년대 최익한과 홍이섭의 정약용 연구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15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