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관련 요구 조사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5 .06
1960~70년대 버스안내원과 ‘서비스’ 노동의 성별화
역사비평
2020 .11
The Active and Passive Voice in the Methods Section of Applied Linguistics Research Articles
응용언어학
2021 .03
섬 지역 음식문화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지자체 온라인쇼핑몰 BI의 시각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도서문화
2023 .06
예이츠의 여성적 목소리와 욕망의 시화 : 「젊었을 때와 늙었을 때의 여자」
새한영어영문학
2015 .08
고등학교 3학년 국어 수업에 나타난 특권화 양상 분석 : 교사와 학생 간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17 .02
1960-70년대 서비스노동의 특성과 버스안내원들의 저항
역사연구
2022 .05
Voice: Passives and Middles
생성문법연구
2023 .05
Disciplinary Voices in Academic Writing : A Study of Two Korean EFL College Students
응용언어학
2016 .09
오태석 희곡의 ‘틈’ 형상화 연구 - 「여우와 사랑을」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5 .01
아동의 음성문제와 음성 관련 행동특성에 대한 부모 및 담임교사의 인식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6 .06
The Impact of passenger volume and transportation revenue change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ity Bus Quasi-Public Operation System - Focusing on the BRT system of Busan City ?
인문사회과학연구
2021 .09
Zero-shot voice conversion with HuBERT
말소리와 음성과학
2023 .09
상해 의도성과 사건 기술 방식에 따른 사건해석의 차이 : 능동문과 피동문의 조절된 매개효과
담화와인지
2024 .08
Effects of Author Voice Writing Instruction in EFL Writing Classes
영어학
2015 .03
1960-70년대 서울의 도시공간 변화와 여성 버스안내원의 노동
여성과역사
2022 .12
王弼의 本體論 : 體用論과 관련해서
도교문화연구
2016 .11
호서선비문화가 가진 교육콘텐츠로서의 의미와 가능성
유학연구
2015 .11
모빌리티 노동의 정동-도시 모빌리티와 1970~80년대 ‘버스 안내양’의 정동-
사이間SAI
2022 .11
5·16 쿠데타와 ‘서비스’의 젠더정치
역사비평
2021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