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Effects of Korean Secondary English Teachers’ Perceived Criterion Importance on Scoring Behavior in L2 Writing Assessment
응용언어학
2023 .09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raining on Raters’ Bias toward Test Takers in Oral Proficiency Assessment: A FACETS Analysis
Journal of Asia TEFL
2018 .01
Analysis of rater effect in the evaluation of second language grammatical knowledge in the context of writing: Application of a generalized linear model
언어연구
2019 .01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최적의 채점자 배정 방식 연구 -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20 .01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 나타난 채점자 신뢰도 및 일관성 연구
화법연구
2018 .01
A Study of the Criteria Design and Application to the Criterion-Referenced Test of English
영어영문학
2018 .02
고등학생 영어학습자의 말하기 평가에서 채점자 훈련의 효과 및 채점자 인식 분석
영어교육연구
2020 .01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의 채점 편향성 분석
이중언어학
2018 .01
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채점자의 언어적 배경에 따른 영향 연구 -학습자 모국어에 대한 숙지도(熟知度)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17 .01
Assessment Behavior and Perceptions of Raters in Paired and Group Oral Interaction
Journal of Pan-Pacific Association of Applied Linguistics
2015 .07
쓰기 평가에서 채점 특성에 대한 피드백이 채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중언어학
2015 .01
A study on evaluating English speech rate: Focusing on professional vs. non-professional raters
언어연구
2019 .01
作文評価の変遷と展望 - 作文の評価項目に着目して -
일본어학연구
2024 .09
미국의 초·중등 작문 평가의 특징과 시사점 탐색 - 국가 및 주 수준 표준화 작문 평가를 중심으로 -
작문연구
2020 .01
평가자에 따른 작문 평가 결과의 비교 연구 - 채점(scoring) 및 총평(description)의 양상을 중심으로 -
작문연구
2016 .06
텍스트 범주에서의 중국어 작문 교육 고찰(考察) — 제 2 언어에서의 중⋅고급 중국어 작문교육을 중심으로
중국언어연구
2017 .02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 고정 오류 연구
이중언어학
2016 .01
Inter-rater Reliability of English Essay Test and Korean-English Translation Test Across Multiple Topics and Rating Criteria
외국학연구
2018 .01
작문 교육의 목표와 실행에 관한 성인 학습자의 인식 연구
어문론집
2017 .12
창의 융합 과정으로서 작문과 작문교육
독서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