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불가리아의 유럽화 과정과 전망: 불가리아의 유럽연합 가입 이전의 상황을 중심으로
유럽연구
2023 .08
중동부유럽 국가의 공산체제 전환과 청산과정에 대한 연구: 불가리아 사례를 중심으로
EU연구
2021 .11
박정희 정부의 대중 · 소 외교정책 : 대통령 기록물 분석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2015 .06
유럽 회의주의의 도전과 변화: 불가리아 사례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2024 .08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 연구 - 불가리아 모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
2018 .01
The Formation Process of Soviet Koreans' Transnational Identity as New Soviet Citizens from the 1920s to the 1930s: The Physical Cultural Activities in Primorye as Recorded in the Soviet Korean Newspaper Sunbong (Avant Garde)
Pacific Focus
2020 .01
2차대전 종결 전후 뤼순(旅順)·다롄(大連)의 특수지위와 중소관계
아세아연구
2019 .03
Soviet Science Diplomacy: How Central Asia was Instrumentalised in Soviet Foreign Policy
Journal of Eurasian Studies
2023 .02
The Past and Present of ex-Soviet Koreans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8 .07
미⋅소 군정기 중국 언론의 북한인식 - 소련군의 점령정책을 중심으로 -
중국학보
2015 .05
소련 몰락 이후 소련과 동구권의 사회-경제적 형태에 관한 포스트-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논의들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9 .05
제2차 세계대전기 소련의 대일전 참가를 둘러싼 미 · 소 군사협력 : 무기대여법과 ‘훌라 프로젝트(Project Hula)’의 역할을 중심으로
군사
2017 .12
분단초기(1945-1967) 북한 고등교육에서의 소련 제도의 전이와 변용
교육사회학연구
2017 .01
소연방과 중앙아시아 : 지역 정체성과 결정화, 그 역사적 수렴과 발산
중소연구
2022 .08
1950, 60년대 중국 당대문학의 러시아 · 소련문학 수용 · 전유와 그 변화 양상
동북아 문화연구
2018 .06
소연방 해체기 중앙아시아국가들의 탈소비에트화 및 중앙아시아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을 중심으로
한국 시베리아연구
2019 .01
월츠의 세 가지 이미지와 한반도 분단의 원인에 관한 연구 : 탈냉전 이후 해제문헌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국제정치논총
2015 .06
해방 직후 서울 주재 소련 총영사관 처리를 둘러싼 법적 쟁점
서울국제법연구
2023 .06
Soviet federalism from below: The Soviet Republics of Odessa and the Russian Far East, 1917–1918
Journal of Eurasian Studies
2020 .01
소련의 중동전쟁 참전 양상 고찰
계간 외교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