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사회의 점복행위의 확산과정과 점복제의영역의 변모를 통해 점복행위와 점복주변산업의 시장화의 측면을 탐구하는 데 주된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공동체적 인간관계가 해체되고 사회전반이 시장화되면서 현대사회의 점복행위는 다양한 전형으로 표상된다. 이러한 과정은 점복과 그 주변 역시 상업화되고 시장화되는 양상으로 특징지어지며, 그 결과 점복행위 실행영역이 시장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점복의 현재성을 보다 설득력 있게 논의하기 위해 점복인과 점복관련종사자들을 심층면접하여 점복행위의 실행과정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점복행위의 실행영역이 상업화되고 시장화되는 과정을 본 연구자의 현장경험에 기반하여 해석한다. 점복행위 확산과정에 점복인과 문점인을 넘어선 전문홍보업체라는 제3자가 개입된다. 이 과정은 특히 디지털시대의 대중매체의 발달에 기반하여 확산된다. 점복주변산업은 점복콘텐츠를 제작 · 판매 · 확산하고 점복인을 직간접적으로 고용하는 닷컴운세회사, 점복전문 홍보대행사, 점복행위 관련용품을 유통 · 판매하는 만물사(불교사), 점복의 제례장소인 굿당과 기도터, 일부 제의용품을 점복인 중심으로 고기, 떡, 과일 등을 판매하는 일명 돼지삼촌으로 불리는 도 · 소매업자 등으로 나뉜다. 다양한 점복주변산업은 점복행위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시장을 형성한다. 기존 점복관련연구의 한정성이 점복행위와 그 실행개념의 연구의 부재에 있다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점복을 점복행위의 개념으로 확장하려 한다. 이러한 시도는 첫째, 점복이라는 내용 자체에 한정된 정태적 연구에서 진일보하게 하고, 점복이 실행되는 사회구성적 과정을 포함함으로서 사회현상으로서의 점복행위에 대한 맥락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향후 한국사회에서 현재하는 점복행위에 대한 관습적인 이해를 넘어서 제도화가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는가에 대한 시장적 영역에서의 조망을 가능하게 할 해석적 틀을 형성하게 하는 기반을 마련한다. 나아가 점복인과 점복행위의 재생산과정이 이루어지는 공적 영역에서의 이해기반을 마련하는 연구로 확장되어야 할 과제를 남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rketization of divination and its related field, through the process of divination’s expansion and the transfiguration of The Ritual of Divination in Korean society. Since the human relations is dissolved and society is widely marketized, divination in modern society is symbolized through various paragons. The process shows the aspect of divination being commercialized and marketized, thus resulting in the marketization of divination. To discuss the Being Present of divination more persuasively, the researcher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on diviners and of the divination related fiel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ractice. The researcher interprets the process of divination’s practice being commercialized and marketized, based on the researcher’s field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divination’s expansion, professional publicity enterprises become involved as a third party, aside from the diviner and client. This process is expan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in the digital era. Divination related industries consist of company which produces, sells, spreads division related contents and hires diviners direct/indirectly, professional publicity enterprises for divination, which distributes and sells divination related supplies, Gut-Dang and praying sites, which are the Ritual area of divination, wholesale, retail traders also known as ‘the Pig Uncle’ that sells some of the things such as meat, rice cake, and fruit mostly to diviners. Various divination related industries form a market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divination. The researcher regards that the limitation of former studies on divination lies in the absence of the research on divination and the concept of its practice.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xpand as the concept of ‘Divination-action and practice’ Such an attempt will make the stationary research, which only focused on the content of Divination, take a huge leap forward. Thus, it will allow the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divination to be regarded as a social phenomenon. The study will provide the foundation of frame in the future, which allows overlooking how the institutionalization is socially organized, beyond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divination that is present in Korean society. Furthermore, it addresses the need for the research to be expanded to where it can provide consciousness in how the diviners’ divination is being reproduced in the Public S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