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며
Ⅱ. 제주 4·3사건의 폭력과 배제
Ⅲ. 생존자의 기억과 용서 가능성
Ⅳ. 제주 해녀들의 숨비소리
Ⅴ. 나가며
인용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Jeju 4·3 Incident and the Existence of Haenyeo in Lisa See’s The Island of Sea Women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0 .10
영어권 문학을 통한 한국 지역 문화와 현대사 이해 - 북미 독자층의 『해녀들의 섬』 수용 분석
인문논총
2022 .08
북한 당대시로 본 ‘무자제주참변’
한국언어문학
2016 .01
일제강점기 제주인의 이주노동과 제주사회의 변동 - 제주와 오사카 간 해상항로의 영향을 중심으로 -
탐라문화
2022 .11
설화를 통해 본 ‘제주도의 왜구’
도서문화
2020 .12
제주 4 ․ 3 사건 당시 교회의 역할
교회사연구
2015 .06
제주 줄다리기[照里戱]의 역사문화원형 복원과 축제콘텐츠 개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7 .11
조선후기 지도와 기록화를 통해 본 제주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0 .09
제주 해녀들의 삶과 생활을 활용한 공연 스토리텔링 연구
공연문화연구
2015 .08
한반도 사드배치 이후 중국 온라인 미디어 분석을 통한 제주도 이미지 제고방안 연구
중국학
2019 .01
제주방언에 대한 방언 태도 연구-제주 지역 공무원을 중심으로-
방언학
2020 .01
제주 기독교의 선교 양태에 관한 비교 연구 : 제주 천주교와 개신교 선교역사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9 .04
제주지역 여성노동의 유형별 비교 연구
탐라문화
2019 .01
제주 해녀들의 초국적 이동과 언어혼용의 양상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1 .04
동북아 비핵지대와 제주 비핵조례- ‘평화의 섬’ 구상의 내실화를 위하여
탐라문화
2018 .01
제주4·3 진압과 ‘냉전공간’으로서의 수용소
역사비평
2023 .02
현길언 초기 소설에 나타난 4⋅3과 제주 - 1960~1970년대, 등단 이전 소설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2023 .03
18세기 제주의 진상제(進上制)와 상품유통
한국사연구
2019 .09
제주 이주 노동의 역사와 정체성 문제
도서문화
2024 .06
근현대 제주 잡지의 지형과 특성
어문논집
202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