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음악으로 셰익스피어를 읽다
Shakespeare Review
2018 .06
일자에서 다수로: 디지털 판본과 인터넷 셰익스피어 전집의 진화
Shakespeare Review
2023 .02
소리의 축제와 셰익스피어 (김 한, 『귀로 듣는 셰익스피어 이야기』, 서울: 동인, 2021)
Shakespeare Review
2021 .06
사회정치학으로 셰익스피어 읽기
Shakespeare Review
2017 .03
『셰익스피어 입문』 : 한국 셰익스피어 협회 편, 삼화출판사, 1969
Shakespeare Review
2017 .09
피천득 문학에 나타난 셰익스피어의 영향 연구
인문과학
2019 .01
재소자들의 윤리적 갱생을 위한 셰익스피어 치유법 : 실천인문학으로서의 문학의 가능성 연구
Shakespeare Review
2016 .12
남육현의 <12번째 밤>(Twelfth Night): 셰익스피어를 위한 셰익스피어? 소통의 어려움 내지 아쉬움
Shakespeare Review
2022 .06
셰익스피어 연구자의 관점에서 본 『스테이션 일레븐』의 셰익스피어 활용
현대영미소설
2021 .09
19세기 아동 문학 풍토와 램 남매의 『셰익스피어 이야기』각색 연구
Shakespeare Review
2017 .03
민족시인의 형성 : 왕정복고기와 18세기 영국의 셰익스피어
Shakespeare Review
2015 .09
국내 셰익스피어 유입사 다시 보기: 1894년경의 장봉환의 사례에 관하여
Shakespeare Review
2022 .06
셰익스피어 수업 살리기 방안
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
2019 .01
『트로일러스와 크레시다』에 나타난 극적 기법 - 점강법, 극중극, 토론을 중심으로 -
人文科學硏究
2018 .01
디지털 셰익스피어: 미디어로 만나는 『로미오와 줄리엣』
영어영문학연구
2021 .12
탈산업화 시대의 문화도시 연구-<캐나다 셰익스피어 페스티벌>의 스트랫포드를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
2015 .01
Groups of Ten or More People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줌 연극, 셰익스피어
현대영미드라마
2022 .08
문화의 보편성과 역사성 :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을 맞이하여
지식의 지평
2016 .05
수잔 쿠퍼(Susan Cooper)의 『그림자의 왕』(King of Shadows)을 활용한 셰익스피어와 미래 고교영어교육
현대영어영문학
2022 .12
셰익스피어 한국어 번역 100년사 : 번역 현황과 번역 태도의 변화 연구
번역학연구
2018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