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쓰기/말하기 통합 기능학습을 위한 초급 작문 수업 연구 : 어휘와 문법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7 .08
近代化 過程에서의 ‘言文一致’의 受容과 그 樣相
어문연구(語文硏究)
2019 .09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Literacy Practices and Successful School Performance in Learning Languages
영어영문학연구
2015 .01
학습자 주도 활동에서 초등학생들의 상호작용 형태와 문자언어 사용이 핵심 표현 학습에 미치는 영향
초등영어교육
2023 .03
초기 문해력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초등국어교육
2017 .01
The Effects of Language Difference on L2 Learners’ Language Performance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2
구어와 문어의 구분에 대한 일고찰 - 디지털 언어 콘텐츠 구분의 용이함을 위하여
어문연구
2024 .09
An Analysis of Speak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언어과학
2019 .01
대학 교양 글쓰기와 문해력
韓國古典硏究
2022 .11
Poetry as a Venue for Meaningful Literacy: A Case Study of a Primary English Language Learner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23 .02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의 실제화 연구 - 1,2학년을 위한 ‘발표하기’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
2017 .01
인성기반 창의․융합적 리터러시 교육 —뉴 3Rs 리터러시 언어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21
2015 .01
말을 두고 말해본다
중국조선어문
2017 .03
남북 우리말의 구어와 문어
사회언어학
2020 .01
A.I. Chatbot과의 실시간 문자기반 대화를 통한 영어학습: 한국인 영어학습자 사례연구
현대영어교육
2024 .05
한글의 탄생과 불교사상의 언어- 언어존재론적인 시좌(視座)에서 -
언어사실과 관점
2016 .01
모바일을 활용한 말하기 과제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화법연구
2021 .01
과제 수행 중심 말하기 모델로서의 ‘한국어 마을’ 사례 연구
한국민족문화
2018 .05
A Study on an Immigrant and an International Student’s Literacy Transfer
언어과학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