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왜 ‘뒷전’인가?
2. 재배치된 재판, 그리고 두 가지 문제 상황
3. ‘해원’의 서사, 〈신과함께(죄와벌)〉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무속의 관점에서 보는 사회적 약자의 존재성–뒷전의 인물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18 .01
무속에 나타난 인간의 위상 — 무속의례와 죽음신화를 중심으로 —
동방문화와 사상
2022 .12
‘웹-무속’의 전망과 연구 패러다임의 전환
한국무속학
2022 .02
공존의 알고리즘 : 문화융복합 시대에 고전문학 연구자가 설 자리
우리문학연구
2018 .04
뉴욕 무계를 통해 본 한국무속의 해외전파와 디아스포라적 변이 양상
실천민속학연구
2022 .08
제주의 신화적 원형 상상과 한류미학의 가능성 ‘차사본풀이’의 현재형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2020 .01
신명기 역사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람’ 구절 연구 : 왕상 12:33~13:34
신학과 목회
2018 .11
Who is God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6 .06
어린이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시리즈에 반영된 무속적 해원구조의 콘텐츠화 양상과 의미
우리어문연구
2022 .09
춘추전국시대의 귀신 담론
중국문학
2022 .02
한중 문헌설화에 나타난 귀신담 - 18세기 이전 작품을 중심으로
동남어문논집
2019 .01
인간의 행복에 대한 기독교적인 이해
행복한 부자연구
2016 .12
본풀이적 세계관의 현대적 변용 연구 : 웹툰〈신과 함께〉와〈차사본풀이〉의 비교를 통해
서강인문논총
2015 .12
거리굿에 나타나는 웃음의 양상과 의미 연구 : 일산동 별신굿의 거리굿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19 .06
『주역』의 神字의 용례를 통해 본 神의 함의
동서철학연구
2015 .09
한국무속의 신격연구2 : 동해안별신굿을 중심으로
민속연구
2019 .02
토마스 아퀴나스 자연법에서 신에 대한 지식의 추구가 제1계명일 수 있는가?
가톨릭철학
2020 .01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 : 제주도 무속을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2018 .08
<전우치전>의 욕망 구현 방식과 서사적 의미 : 신문관본 <전우치전>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2015 .12
당신은 신의 세상에 살고 있는가, 아니면 인간 세상에 살고 있는가?
인문과 예술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