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Japan
The Position of Modern Japan: Korea Editions
Differences between Korean Literary Introductions by Kim Saryang and Han Sik
Analysis of Pak T’aewŏn’s “A Street Darkly”
Conclusion
Works Cited
Abstract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30년대 ‘모던’계 잡지로 보는 일본 지역사회의 대중문화 수용 양상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1 .04
일제 말 대중 잡지에서 보이는 ‘조선’이라는 공간인식 : 『관광조선』과 『모던일본 조선판』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근대적 글쓰기 공간으로서 여성 잡지 : 근대 초기 여성 잡지의 실태와 양상 조사
한국근대문학연구
2018 .04
1940년대 식민지 조선의 교원 양성 연구 - 잡지 『국민학교』를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3 .04
다이쇼기 여성 대중의 탄생 ? 대중 여성잡지와 소비주의 ?
日本思想
2021 .01
근대에 대항하는 도구로서의 이상 단편소설(2) : 식민지 조선 근대에 대한 이상의 인식
제3시대
2017 .03
외연의 확장과 새로운 시도 - 박태원 연구의 최근 동향(2015~2017)
구보학보
2017 .06
식민지근대화라는 환상과 공산주의라는 증상
현대정신분석
2022 .08
식민지근대화론의 주요 주장의 실증적 검토
내일을 여는 역사
2015 .06
한국 근대잡지 문헌목록 프로젝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2 .08
픽션과 인간진화: 인문학, 과학, 그리고 문학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9 .05
제12회 자음과모음 네오픽션상 발표 외
자음과모음
2024 .12
스펙터클에 맞서는 문학의 언어 - 박태원의 『계명 산천은 밝아오느냐』론
구보학보
2015 .06
종이 잡지의 쇠락과 잡지의 미래
인물과사상
2019 .09
111호를 내며 : 사회의 SF화, 자본주의 기술정치의 ‘소셜 픽션’
문화과학
2022 .09
1910년대 식민지조선의 불교 근대화와 잡지 미디어
종교문화비평
2016 .01
한국불교의 근대와 탈근대- ‘주체적 근대’ 확립의 과제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
2019 .01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동경 체험의 양상 고찰
우리어문연구
2015 .01
박태원 소설의 골목 표상과 이웃 생태학
구보학보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