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朴京顺 (嶺南大學校)
저널정보
동아인문학회 동아인문학 東亞人文學 第61輯
발행연도
2022.12
수록면
93 - 119 (27page)
DOI
10.52639/JEAH.2022.12.61.9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통사론,의미론, 화용론적 측면에서 중국어에서 가능을 나타내는 조동사와 한국어에서 그에 대응하는 표현형식에 대하여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기존의 중국논문과 한국논문을 살펴보았을 때 조동사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대외한어교육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을 상대로 조동사를 습득할 때 나타나는 오류에 대한 분석, 그에 대응하는 교수방법 등 관련된 논문들을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한국어 양태표현과 중국어 조동사의 연관관계에 대해서 논의한 논문들도 한국학술계에서 꽤 많이 보인다. 중국어문장에서 조동사는 문법적으로 대부분 부사어역할을 담당하며, 술어 앞에 위치한다. 반면에 중국어 조동사는 한국어문장에서 술어 뒤에 위치한다. 한국어는 어미의 변화가 다양하여 제대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것은 바로 중국어는 고립어이고 형태변화가 거의 없으나 한국어는 교착어여서 어미의 변화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중국어조동사가 한국어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 한중 문법적 측면에서 비교분석을 진행하는 것은 아주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어문법이 복잡하여 심도 깊게 연구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나름대로 비교분석을 통해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었다.

목차

中国语抄录
Ⅰ. 引论
Ⅱ. 汉语能愿动词的语法特征及研究概况
Ⅲ. 汉语能愿动词“会”、“能”、“可以”与韩语对应形式的比较
Ⅳ. 结论
参考文献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001-000323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