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영상기술연구 영상기술연구 제40호
발행연도
2022.12
수록면
169 - 182 (1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We interpret events according to hypothetical contexts that we shape through our knowledge and experience of how the world works, and sometimes through our biases. So, the director creates the background space of the movie, which is the context, according to the emotional atmosphere inherent in the scenario, and according to the way he describes the context, it contributes to delivering the narrative content and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aracter to the audience.
In modern films, more complex contexts have been applied to the film background space, and the ways of thinking about the context have been diversified, and the methods of reflecting it in the film background space have also diversified. Even with the same scenario, different producers can apply different contexts to the background space of a movie depending on the director to create a completely new form. Therefore, I would like to study how modern film directors interpret the context in the movie background space and how they are reflected in the story and character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688-000373222